8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상임감사 선임을 앞두고 있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은 총 9곳이다.
현재 상임감사 자리 자체가 없는 곳은 KB국민은행이 유일하다. KB사태로 인해 지난 2015년 1월 정병기 전 감사가 사퇴한 이후 3년째 마련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허인 국민은행장은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내부통제를 위해 오는 3월 주주총회까지 감사를 새로 선임한다는 뜻을 밝혔다.
NH농협은행과 전북·대구·경남·제주 등 지방은행 5곳, IBK기업·KDB산업·수출입은행 등 기타공공기관 3곳 등 총 8곳의 상임감사는 곧 임기가 만료되거나 이미 만료된 상태다.
금융권 관계자는 "조만간 임기가 끝나는 상임감사들이 많은 상황"이라며 "보통 상임감사는 현 정부와 코드가 맞는 관계자가 선임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감사 자리를 두고 정권 실세 간 알력이 극심하다는 이야기가 들린다"고 전했다.
상임감사는 금융권 '꿀보직' 중 하나로 손꼽힌다. 고액의 보수를 받으면서 회사 주요 의사결정에 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업무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상임감사 대부분이 억대 연봉을 받으면서 개인비서·전용차량 등까지 지원돼 은행장 못지않는 대우를 받는다"며 "연임자들은 재직 기간 동안 10억원 넘게 챙기는 게 다반사"라고 전했다.
상임감사 보수는 기본급에 기타근로소득, 경영성과에 연동한 성과급 등을 더해 책정한다. 한 예로 박창언 부산은행 상임감사는 지난해 3월 퇴임 당시 무려 5억89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와 별도로 장기성과 현금보상액 400만원, 이연지급대상인 주가연계현금보상 주식 1만8295주(2억9000만원 상당)가 지급됐다.
상임감사는 금융사의 내부비리 감시, 회계업무 감독 등 내부통제 감시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대부분 낙하산 인사들이 자리를 꿰찼다. 사실상 대관 기능을 상임감사에 의존하다 보니 정·관계에서 '입김'이 있는 인사가 오는 게 금융회사 입장에서도 편하다.
현재 대부분 은행 상임감사는 금융감독원 출신이 차지하고 있다. KEB하나은행, 농협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제주은행은 한국은행 출신이 맡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전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나 정치권에서 아무리 금융업권을 들여다본다고 해도 실무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경영 전반을 감시하는 역할이 아니라 오히려 회사 CEO들과 유착 관계가 심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상임감사를 물색하고 있는 국민은행의 경우도 참여정부와 코드가 맞는 감사원 출신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허인 행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감사 선임은 다른 기관들과도 조율이 필요한 사안"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선임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업은행 등 기타공공기관은 상임감사 선임에 기약이 없는 상태다. 한 관계자는 "기재부나 금융위에서 감사 선임을 전적으로 하기 때문에 은행들은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귀띔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