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베트남·중국에 솔루션마케팅센터 짓는 이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류태웅 기자
입력 2018-01-09 14: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권오준 포스코 회장. [사진= 아주경제 DB]


포스코가 베트남, 중국에 솔루션마케팅센터를 짓기로 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9일 포스코는 조직 개편을 통해 베트남, 중국에 솔루션마케팅센터를 새로 만든다고 밝혔다.

포스코가 수출하는 지역은 아시아, 북미 등 전세계다. 이 중 동남아시아지역 국가인 베트남은 포스코가 일찌감치 공들여 온 곳이다. 포스코는 우리나라가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하기 한 해 전인 1991년 하노이에 사무소를 열었다.

현재는 이 국가에 판재 및 봉형강류 공급체계를 구축해 놨다. 전체 철강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췄다는 얘기다. 동남아 최대인 연산 120만t 규모의 냉연공장을 운영 중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포스코는 베트남 하노이 사무소를 개소한 같은 해 중국 베이징에도 사무소를 열었다. 현재는 대표법인인 포스코차이나를 두고, 4개 생산법인과 13개의 가공센터를 운용하고 있다. 

포스코는 중국 로컬 및 현지 진출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을 대상으로 자동차강판과 고품위 강종 등 월드프리미엄(WP) 제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에는 중국 자동차 시장의 중심지인 충칭과 청두에 자동차강판 가공센터를 잇따라 준공했다.

포스코가 지난해 3분기 기준 중국에서 올린 매출은 9조1396억원에 이른다. 이는 단일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이다.

두 국가의 향후 시장성은 밝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부터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철강 소비량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6년 기준 세계 최대 철강 소비국은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한국 등 순이었다.

특히 중국은 2009년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판매국에 오른 데 이어 오는 2020년 자동차 생산량이 345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이유로 포스코가 고객사의 니즈가 많고, 실적 향상에 기여도가 큰 베트남, 중국에 주목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은 철강 수요 잠재력이 높고, 중국은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진출해 있다"며 "솔루션마케팅센터를 통해 차별화된 현지화 전략을 펼치는 등 고객밀착 마케팅을 강화, 전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