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칼둔 특사로부터 왕세제 친서 전달받아…"이른 시기 방문 희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주진 기자
입력 2018-01-09 18: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靑 "외교·국방 '2+2 차관급 채널'로 시작해 협력관계 논의

[图片=韩联社]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앞으로도 양국 신의를 바탕으로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 발전시켜 가겠다는 확고한 의지와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UAE 왕세제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한 칼둔 칼리파 무바라크 UAE 아부다비 행정청장을 접견, 한-UAE 양국간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칼둔 특사가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심화·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미래 지향적이고 성숙한 양국 관계로 격상해 발전시키는 데 역할과 기여를 해 달라고 당부했다.

칼둔 특사가 문 대통령에게 "양국은 이혼을 허락지 않는 카톨릭식 결혼을 했다"고 말하자, 문 대통령은 "결혼했으니 뜨겁게 사랑하자"고 화답했다고 박 대변인은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또 "올해 말 바라카 원전 1호기 완공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양국 협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바라카 사업의 성공적 완수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칼둔 특사는 "UAE와 한국은 상호 신뢰를 토대로 역내 가장 소중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왔고 양국 관계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는 문 대통령에게 무함마드 왕세제 친서를 전달하고 상호 편리한 시기에 문 대통령과 왕세제의 상호 방문이 이뤄지기를 희망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외교채널을 통해 협의하기로 했다고 박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왕세제의 초청을 기쁘게 수락하면서 이른 시일 내 방문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답변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이와 관련해 UAE 측은 올해말로 예상되는 바라카 원전 완공 이전에 문 대통령이 방문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변인은 "양국 간 전략적 대화, 외교장관 채널이나 경제장관 간 경제공동위원회라는 소통채널이 있었는데 실질적으로 가동이 안 됐다"며 "앞으로 오늘 논의한 다양한 분야의 협력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외교·국방) 2+2 대화채널을 새로 형성하고 그 안에서 이 모든 문제를 다양하게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2+2는 통상적으로 동맹국간 이뤄지는 외교·국방장관 간 논의채널을 의미하는데 한국과 UAE는 미국과 호주 정도로 운영하는 것으로 안다"며 "일단 차관급 정도에서 시작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