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9일 "앞으로도 양국 신의를 바탕으로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 발전시켜 가겠다는 확고한 의지와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UAE 왕세제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한 칼둔 칼리파 무바라크 UAE 아부다비 행정청장을 접견, 한-UAE 양국간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칼둔 특사가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심화·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미래 지향적이고 성숙한 양국 관계로 격상해 발전시키는 데 역할과 기여를 해 달라고 당부했다.
칼둔 특사가 문 대통령에게 "양국은 이혼을 허락지 않는 카톨릭식 결혼을 했다"고 말하자, 문 대통령은 "결혼했으니 뜨겁게 사랑하자"고 화답했다고 박 대변인은 덧붙였다.
칼둔 특사는 "UAE와 한국은 상호 신뢰를 토대로 역내 가장 소중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왔고 양국 관계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는 문 대통령에게 무함마드 왕세제 친서를 전달하고 상호 편리한 시기에 문 대통령과 왕세제의 상호 방문이 이뤄지기를 희망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외교채널을 통해 협의하기로 했다고 박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왕세제의 초청을 기쁘게 수락하면서 이른 시일 내 방문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답변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이와 관련해 UAE 측은 올해말로 예상되는 바라카 원전 완공 이전에 문 대통령이 방문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변인은 "양국 간 전략적 대화, 외교장관 채널이나 경제장관 간 경제공동위원회라는 소통채널이 있었는데 실질적으로 가동이 안 됐다"며 "앞으로 오늘 논의한 다양한 분야의 협력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외교·국방) 2+2 대화채널을 새로 형성하고 그 안에서 이 모든 문제를 다양하게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2+2는 통상적으로 동맹국간 이뤄지는 외교·국방장관 간 논의채널을 의미하는데 한국과 UAE는 미국과 호주 정도로 운영하는 것으로 안다"며 "일단 차관급 정도에서 시작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