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ZTSSe 박막 태양전지는 박막형 태양전지 중에서 최고효율을 보이는 CIGS 태양전지를 (광전변환효율=22.9 %) 대체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세계적으로 그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최근 CZTSSe 박막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이 12.6 %에서 정체되어 효율 값이 오르지 않고 있어서 관련학계는 그 원인에 대한 분석 연구가 필요했었다.
연구논문의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한 김성연(인천대학교 물리학과) 박사과정 학생은 CZTSSe 광흡수층의 S와 Se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서 태양전지 효율에 제한을 두는 인자가 다르게 존재한다고 밝혔다.

[사진=인천대]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저명 학술지인 나노 에너지 (Nano Energy, impact factor=12.343) 온라인 판에 (2017년12월 21일) “Limiting effects of conduction band offset and defect states on high efficiency CZTSSe solar cell” 제목으로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