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 LG전자 부회장은 현재 건설 중인 미국 테네시 세탁기 공장을 “올해 4분기에 조기가동하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당초 내년 1분기까지 2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테네시주 세탁기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미국이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의 하나로 현지 공장 조기가동을 선택한 것이다.
조 부회장은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세이프가드 조치에 대해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이 공장에서는 향후 톱로드·프론트 로드형 세탁기가 연간 각각 50만~60만대씩 생산될 예정이다.
그는 “테네시 공장 건설은 5년여 전부터 준비해온 것으로 물류비용과 현지 지원 등을 고려해 선택했다”며 “다만 최근 현지에서 세이프가드 조치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그 대응 방안의 하나로 좀 더 빨리 짓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도 올해 1월 조기가동을 목표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뉴베리 지역에 가전공장을 건립하고 있다. LG전자와 마찬가지로 세이프가드 조치 움직임을 앞두고 조기에 공장을 가동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전략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21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생산하는 대형 가정용 세탁기에 관세를 부과하는 세이프가드 구제조치 권고안을 제출한 바 있다. 권고안에는 3년간 연간 120만대를 초과하는 삼성∙LG전자의 세탁기 수입물량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하는 저율관세할당(TRQ) 조치가 포함됐다.
이에 따라 한국정부와 관련 기업들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주최한 공청회에 참여해 ITC의 세이프가드 권고안에 대해 불합리함을 피력한 바 있다. 이 권고안은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보고된 상황이며, 내달 중 결론이 난다.
조 부회장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세이프가드 조치에서 한국을 제외해 달라는 것”이라며 “반덤핑 수치도 0%대로, 이런 부분들이 합당하지 않다고 정부와 같이 세계무역기구(WTO) 등에 어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세이프가드 조치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실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거세지고 있으며, 올해 새롭게 시작한 반덤핑 규제는 54건으로 최근 10년 내 최대치다.
이에 따라 LG전자도 현실화 가능성에 높은 무게를 두고 여러 시나리오를 짜고 있는 분위기다.
조 부회장은 “일단 여러 가능성을 놓고 대응 시나리오를 짜고 있다”면서도 “자세하게 언급할 수는 없지만 어떤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공급하는 데 이상은 없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각 생산 라인 캐파(생산가능량)는 국내 라인 캐파와 동일해 한 라인당 50만~60만대 수준으로, 이는 북미 판매량 수준에 합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또 세이프가드 조치 대상에서 제외되는 모델들은 국내에서 제조해 수출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함께 자리한 송대현 LG전자 H&A(생활가전)사업본부장(사장)도 “좋은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지만 대비책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며 “일일이 설명할 수는 없지만 어떤 결론이 나도 시나리오별로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조 부회장은 올해 LG전자 창립 60주년을 맞아 새로운 도약을 위한 '3대 중점과제 추진' 계획도 밝혔다. △사업구조 고도화 △융복합 시대 선도 △도전적이면서 젊고 생기 넘치는 조직문화 구축' 등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