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1/11/20180111135906887253.jpg)
이날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최고전력수요(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순간 전력수요의 평균)는 8560만㎾를 기록, 종전 역대 최고기록인 8518만㎾(2016년 8월12일)를 넘어섰다.
다만, 이 시간 전력 공급예비율은 15.6%(공급예비력 1340만㎾)로 안정적인 편이었다.
이날 서울 지역 체감온도가 영하 16∼17도까지 떨어지면서 전력수요는 출근 시간인 오전 9시가 되자 곧바로 8500만㎾를 넘어섰다. 오전 10시30분께는 순간 전력수요가 8570만㎾까지 올랐다.
전력 수요가 갑자기 몰리자 정부도 수요자원(DR, Demand Response) 시장 제도를 통해 전력 수요 관리에 나섰다.
지난 2014년 도입된 DR시장 제도는 사전에 계약을 맺은 기업들에 필요시 전력사용 감축을 지시하는 대신 이에 따른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참여기업 수는 2014년 861개에서 현재 3580개까지 늘었다. 이들이 감축할 수 있는 수요자원 총량은 427만㎾다.
수요감축 요청이 내려오면 각 기업은 상황에 따라 가능한 업체 위주로 미리 계약한 범위 내에서 절전에 참여한다.
정부는 이 제도에 따라 오전 9시15분부터 11시15분까지 두 시간 동안 수요감축 요청을 발령했다.
이날 계약 기업 가운데 23000여곳이 요청에 응했다. 이를 통해 감축된 전력량은 150만㎾다.
정부는 12일에 기온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하루 더 수요감축 요청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최근 들어 전력설비를 계속 늘리는 공급 위주의 정책에서 수요 관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실제로 수요감축 요청은 2016년까지 총 3차례(2014년 12월 18일, 2016년 1월 28일과 8월 22일)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부터 발령 횟수가 크게 늘었다.
지난해에는 7월 두 차례(12일, 21일), 12월 세 차례(13일, 14일, 20일) 등 5차례 이뤄졌다.
정부는 최근 공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에서도 DR 시장을 '국민 DR'로 확대해 수요 관리 수단을 더 확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