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교수 연구팀은 고효율 태양광 포집기술을 적용해 이산화탄소 전환용 광촉매를 개발한 것이다. 광촉매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일산화탄소 중간물질로 전환돼 사용가능한 합성연료가 생성된다.
연구팀은 식물이 광합성 할 때 빛을 포집하는 클로로필과 유사한 포피린 염료를 활용했다. 포피린은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되면 쉽게 분해되지만, 여기에 산화물반도체를 결합시켜 광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다.
포피린만으로 구성된 광촉매보다 전환효율이 10~20배 향상되고, 4일 이상 장기 연속 공정에서도 촉매반응이 지속된 것이다.
손호진 교수는 "향후 개발된 광촉매는 대용량 이산화탄소 전환에 적용이 가능해 기후변화대응 환경산업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교육부·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시에스 카탈리시스에 지난 9일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