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원산지표시 이행실태조사는 지난 2011년부터 업태별, 지역별 이행 실태를 파악해 원산지 단속계획 수립, 제도개선 등에 활용하기 위해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서 시행 중이다.
전국 약 8000여개 업체를 표본으로 삼아 원산지 표시 이행 정도를 파악한 결과 이행률과 품목 표시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 포항, 강릉 지역에서 100% 이행률을 보였으며 업태별로는 백화점과 대형마트에서 100% 이행률을 기록해 타 지역과 업태 대비 모범적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해수부는 원산지 표시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산물 판매상, 전통시장 상인회 등 약 100여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원산지 미표시 주된 사유로 ‘매번 원산지를 수정·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65.0%)’이 꼽혔다. 이밖에 ‘표시해야할 품목이 많아서’19.8%)’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임태호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품질관리과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원산지 이행 취약 지역 및 업태를 중심으로 지도·홍보 활동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지자체, 해양경찰 등 관계기관과 합동단속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수산물 유통질서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