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방경찰청(청장 박운대) 16일 보이스피싱 대응 T/F팀을 구성하여 피해자 분석에 따른 맞춤형 홍보경찰 전 기능을 통해 홍보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피해 발생 시 그에 대한 원인분석을 통해 재발방지를 도모하고 금융기관과 공조대응 체계를 강화하여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초기 공동대응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2017년 한 해 동안 보이스피싱 사기범을 2093명(구속137명) 검거해 2016년 대비 47.6% 증가한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같은 지속적인 단속과 예방 홍보활동에도 불구하고, 보이스피싱 범죄는 그 수법이 나날이 교묘하게 변형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피해는 계속 축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한 여대생이 “금융계좌가 형사 사건에 연루되었으니 계좌의 돈에 대한 범죄 연관성을 확인 후 돌려주겠다.”는 검찰청을 사칭(기관사칭형)한 사기범의 말에 속아 다액의 피해를 본 사례와 같이 상대적으로 사회경험이 적은 20대의 피해가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남성에 비해 사회 진출이 빠른 여성의 피해비율이 91%에 달하고 있어 그에 대한 경각심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자영업에 종사하는 40대의 한 남성은 “기존 대출금을 먼저 상환하면, 기존 대출 이자보다 낮은 이자의 대출을 해주겠다.”는 은행직원을 사칭(대출빙자형)한 사기범의 말에 속아 다액의 피해를 본 사례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이 활발한 40대의 피해비율이 60%에 달하고 있으며 직업별 현황을 살펴보면 자영업, 회사원들의 피해자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함께 신학기를 맞이하는 대학생과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 그리고 주부 등의 피해도 대출빙자형 피해의 23%에 달하고 있어 그에 대한 서민 피해 우려되고 있다.
이와관련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발생한다는 일반적인 선입견 깨고 우리 모두가 그 피해 대상이 될 수 있다”며“ 명의도용, 대포통장 등 형사사건과 연루되었으니 계좌의 돈을 확인 후 돌려주겠다는 요구나 직업이나 신용등급에 관계없이 저금리 대출을 해주겠다. 신용등급을 올려 저금리로 대출을 해주겠다.며 수수료, 보증금 등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 100% 사기”라고 말했다.
아울러 “공공기관은 전화상으로 돈을 보관(보호) 해준다거나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대출 전화(문자)를 받았다면, 일단 보이스피싱을 의심할 것과 만약,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경찰서(☎112)나 금융감독원(☎1332), 혹은 해당 금융기관에 신고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