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는 18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가진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관마다 고유의 영역과 역할이 있기 마련"이라며 "한은이 해야 할 범위 내에서 대응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가상통화가 현 단계에선 법적인 지급수단 성격을 가지고 있지 못한 데다 발행주체도 없고 가치의 안정성이 보장돼 있지 않아 화폐의 기본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성격조차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선을 지키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은은 전부터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가상통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며 "기존의 결제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줄지, 확대되면 경제 전반과 금융안정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중앙은행이 디지털화폐를 발행하는 상황이 옳은지 등을 연구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