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분산화된 거래정보를 담은 가상원장(블록)을 가상의 체인으로 연결해 확장 및 사용하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중개인 없이 개인 간 거래(P2P)가 가능한 블록체인은 '보안성·익명성·신속성'을 갖춰 데이터의 안전성과 거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2017년 8월 다보스포럼에서는 오는 2027년 전 세계 총생산(GDP)의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블록체인 시장규모는 2022년 37억 달러에 달하며, 국내 블록체인 시장규모는 2022년까지 3562억원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은 물론 공공, 유통, 물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한 산업 구조 혁신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까닭이다.
해외에서는 물류 관리 서비스(미국 월마트), 난민 지원을 위한 신원 인증 서비스(핀란드), 블록체인 기반 전자 투표(에스토니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사례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다. 국내 역시 '가상화폐(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열풍으로 전기화재 발화지점 분석지원 서비스(SK텔레콤), 이웃 간 전력거래·전기차 충전 서비스(한국전력공사) 등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차츰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과도한 가상화폐 열풍은 잠재우고 기반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은 활성화하겠다는 ‘투 트랙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이마저도 정부와 금융당국 간 상이한 입장차이에 블록체인 발전 가능성을 막을 규제의 사슬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블록체인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현 주소를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