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올해 연말까지 모든 기관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빅데이터 분석모델 10종'을 내놓는다.
급변하는 정보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제4차 산업혁명의 대표기술인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행정정책에 융합하기 위해서다.
표준 분석모델이 보급되면 빅데이터 분석이 활성화돼 사회현안에 대한 최적화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일자리 △지방세 △응급환자 등과 관련된 민생 업무를 지방자치단체가 쉽게 처리할 수 있다.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 모델 보급은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이 추진한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표준화해 다른 기관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사업이다. 2016년 처음 시작됐다.
특히 민원·폐쇄회로(CC)TV·구급차 배치 분야 모델 3종은 모든 지자체에서 활용되도록 확산시킨다는게 정부 방침이다.
또 지능형빌딩시스템(IBS),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등 센서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해 재해·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통신망 로그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이버 공격을 사전 탐지하는 등 행정의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활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민원·관광·공동주택·교통·근로감독 등 표준분석 모델은 한번에 끝나는 1회성이 아니라, 행정 업무에 지속적으로 활용돼 행정기관의 의사결정 지원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된다.
지난해에는 빅데이터 260개 과제 중 △지역기업·구직자 맞춤형 일자리 매칭 모델 △지방세 체납 정보 분석 모델 △상수도 누수지역 탐지 모델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운영 최적화 모델이 구축됐다.
행정혁신 사례로 주목받는 버스정보시스템(BIS)의 경우, 행정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개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는 버스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첨단교통시스템이다. 2001년 12월 부천시가 처음으로 시행한 후, 전주·부산광역시·안양·과천 등 전국 대·중도시를 중심으로 도입됐다. 서울에서는 2005년 4월부터 시행됐다.
각 버스에 설치된 위성항법장치(GPS)를 인공위성과 연결, 운행상황을 교통정보센터로 보내면 이를 각 정류장에 설치된 디지털 안내판에 표시해준다. 이에 따라 승객이 몇 분 뒤 버스를 탈지 확인할 수 있고, 버스에 탄 승객도 언제 목적지에 도착할지 알 수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데이터 개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며, 올해 누적 2만80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분석모델을 현업에 활용할 경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행정이 구현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