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으로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고 유망 직업도 달라지고 있지만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자녀 직업은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853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자녀 직업’을 조사한 결과, 여전히 희망하는 자녀 직업 1위는 ‘공무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자녀가 미래에 갖기를 원하는 직업으로 ‘공무원’(38.8%,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교사, 교수 등의 교육자’(22.6%), ‘IT(코딩, 앱, 게임, 빅데이터 분석 등) 개발자’(20.9%), ‘검사, 판사 등 법조인’(18.3%),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16.5%), ‘디자이너, 음악가 등 예술 계통 종사자’(15.4%), ‘기계 공학 과학자’(14.8%) 등 순이었다.
2순위에서는 남녀 별로 차이를 보였다. 여성은 ‘IT 개발자’(27.8%)가 2위, ‘디자이너, 음악가 등 예술 계통 종사자’(21.7%)가 3위인 반면, 남성은 ‘교사, 교수 등의 교육자’(24.8%)가 2위, ‘검사, 판사 등 법조인’(20.4%)을 3위로 꼽았다.
자녀가 선택한 직업을 갖기 원하는 이유로는 ‘정년까지 일할 수 있어서’(33.9%, 복수응답)가 최우선이었다.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서’(33.2%), ‘수입이 안정적이어서’(32.2%), ‘직업적 발전 가능성이 높아서’(26.6%), ‘소득이 높아서’(24.6%), ‘사회 기여도가 높아서’(15.6%), ‘4차산업혁명시대에 인기 있을 직업이라서’(15.6%) 등의 이유도 있었다.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자녀가 자신과 같은 직업을 가지는 것에 대해 반대했다. 자신의 직업이 대물림 되기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업무 특성상 스트레스가 상당히 심해서’(48.3%,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고, ‘소득이 낮은 편이라서’(45.2%)가 2위였다.
자녀의 동직업 종사 찬성 이유로는 ‘쉽게 없어지지 않을 일자리여서’(36.2%, 복수응답), ‘아무나 못하는 전문적인 일이라서’(32.6%), ‘미래의 직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아서’(29.8%) 등의 이유를 들어 시대 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발전 가능성을 우선으로 보고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