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외신들도 평창 올림픽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북한과 미국 간 경계감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평창 올림픽이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에 주요 변곡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BBC,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주요 외신들은 5일 보도를 통해 "북한이 평창 올림픽 개막식 일정에 맞춰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9~11일 방남 고위급대표단의 단장으로 보내기로 했다"며 "북한의 최고위 관리가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4년 만에 처음"이라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 이은 서열 2위로서 대외적으로 국가 원수 역할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 등 또 다른 외신들은 "북한의 이번 결정이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과 제재를 받는 상황에서 이번 올림픽을 안전한 정치·외교 수단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22명의 선수단과 230명의 응원단, 140여 명의 예술단을 파견하는 한편 9일 개막식에서 한국 선수들과 단일기를 들고 퍼레이드를 펼치기로 한 것도 그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김 상임위원장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의 '고위급 북미접촉'이 성사될지 여부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펜스 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북미 대화의 물꼬를 튼다면 한반도 정세에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에 따른 것이다. 김 상임위원장이 군부 인사가 아닌 외교 쪽 인사라는 점에서 펜스 부통령과의 만남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미국 정부 안팎에서는 북미 대화 가능성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가 익명의 보좌관을 인용, 4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펜스 부통령은 방한 기간 동안 기회가 닿는 대로 북한의 인권 실태를 지적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북한에 대해 자국민을 노예로 생각하는 가장 포악하고 억압적인 정권으로 규정한 뒤 대북 압박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정권의 타락을 지속적으로 비난해왔다. 사실상 북한 인권과 핵 문제를 공통의 문제로 보고, 북한의 인권 문제를 대북 압박을 가속화할 수단으로 보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최근 펜스 부통령이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전략적 인내의 시대가 끝났다"고 밝힌 것도 대북 강경 기조를 강조한 것이라고 외신들은 보고 있다.
다만 '평화의 제전'인 올림픽을 계기로 북한이 노력하는 상황에서 대화 테이블을 무조건적으로 거부한다면 미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가 간헐적으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언급해왔던 만큼 이번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또 다른 대북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BBC 등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