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여파’ 중소기업 설 자금‧상여금도 얼었다

  • 중기중앙회, 중기 절반 자금 부족 ‘호소’‧상여금 미지급 기업 ‘더 늘어’

중소기업 CEO와 종사자들이 최저임금 인상 여파에 ‘설 자금’과 ‘상여금’에 직격탄을 맞았다. 중소기업 절반가량이 설 자금 부족을 호소했고, 설 상여금 지급계획이 없는 중소기업은 더욱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최근 최저임금 인상 요인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18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47.8%가 자금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사정 곤란 원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부진으로 인한 ‘매출 감소’가 56.9%로 가장 많았고, ‘판매대금 회수 지연’(35.6%), ‘원자재 가격 상승’(31.6%)이 뒤를 이었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자금 애로를 겪는 기업 비중이 지난해 24.7%에서 6.9%포인트 크게 증가했다.
 

업종별 설 자금 확보율 및 부족률.[그래프= 중기중앙회]


중소기업이 설 명절에 필요한 자금은 평균 2억3190만원으로 지난해(2억2340만원)보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부족한 금액은 5710만원으로 필요자금 대비 부족률은 24.6%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하면, 설 자금 수요는 850만원 증가했지만 부족률은 8.1%포인트 감소해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도매 및 소매업’의 설 자금 부족률은 48.5%로 지난해 39.9% 대비 8.6%포인트 크게 증가했다. 이는 매출 감소와 최근 최저임금 인상 요인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부족한 설 자금 확보를 위해선 ‘납품대금 조기회수’(28.4%)와 ‘결제 연기’(28%)를 계획하고 있는 비중이 높았다. 이에 따라 자금부족이 거래기업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 상여금을 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 노동자들은 전년보다 줄어들 예정이다. 올해 설 상여금 지급과 관련, ‘지급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56.1%로 지난해(59.8%)와 비교해 3.7%포인트 감소한 반면 ‘지급계획이 없다’ 또는 ‘결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28.5%로 지난해 26.5%에 비해 2.0%포인트 증가했다.

설 상여금 지급계획 중소기업도 1인당 평균 72만9000원을 지급할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72만8000원)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재윤 중기중앙회 정책총괄실장은 “중소기업의 설 자금 사정이 다소 나아졌지만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원자재가 상승 등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업체는 지난해보다 감소하는 등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여전히 얼어붙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서 실장은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에 대한 급격한 여신축소나 대출금리 인상보다는 어려운 때일수록 전향적인 태도로 중소기업 자금 지원정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