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북한의 평창 올림픽 참가가 남북 관계의 해빙으로 이어질지, 북·미 간 전향적 대화의 단초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북한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북한고위급대표단을 보내기로 결정한 것은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분명하게 드러냈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영남 상임위원장은 북한 노동당의 최고 정책결정기구인 정치국 상무위원이자 북한 헌법상 최고 수반이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과의 별도 만남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밖에도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예선 경기(10일), 서울 국립극장에서 열리는 북한 예술단 두 번째 공연(11일) 등에서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방남 기간 동안 남북 고위급이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 셈이다.
김 상임위원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회 위원장의 메시지를 들고 올지도 주목된다. 김정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적절한 시기 방북을 요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평창 올림픽 계기에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의 '고위급 북·미 접촉'이 성사될지도 큰 관심사다.
문 대통령과 우리 정부는 평창올림픽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과 북·미 대화 성사로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구상이 바람대로 실현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넘어야 할 산도 많고 처한 환경도 너무나 험난하기 때문이다.
먼저 북한이 올림픽 개막 전날인 8일 열병식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미국을 겨냥한 전략무기를 대거 등장시킨다면, 북·미 대화는커녕 한반도 정세는 일촉즉발로 빠져들 수 있다. 미국이 북한의 열병식을 중대한 대미 도전으로 간주할 경우, 제한적 대북 선제타격론인 ‘코피 전략’이 더욱 가시화되며 ‘위기론’이 다시 번질 수도 있다. ‘한반도 운전자’로서 한국이 평창올림픽 이후 한반도 정세 관리를 어떻게 해나갈 것인지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평화올림픽 성공을 위해선 북한을 바라보는 우리 언론의 편향적인 시각과 국민 여론도 헤쳐 나가야 한다. 지난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구성 때 2030세대들을 중심으로 ‘공정하지 않다’는 부정적 여론이 확산됐고, 자유한국당 등 보수 정치권과 보수 언론들은 북한에 대한 저자세 비판에 열 올리며 ‘평양 올림픽’ 논란을 부추겼던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이로 인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지지율도 2주 연속 하락했다.
이를 볼 때 한반도 평화로 나아가는 여정 속에서 남북갈등보다 남남갈등을 더 염두에 둬야 할지 모른다. 지난 보수정권 9년간 한국사회를 압도한 냉전적 문화의 뿌리는 생각보다 매우 깊다.
평창올림픽은 한반도 평화를 지키기 위한 절호의 기회이자, 어쩌면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전쟁을 막고 한반도 평화, 더 나아가 통일로 나아갈 수 있는 이번 기회를 결코 놓쳐선 안 된다. 평화는 결코 저절로 또는 공짜로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국민과 함께 공감하고, 적극 소통해야 한다.
“거울 앞에서 내가 웃으면 거울 속의 상대도 웃고, 내가 주먹을 들면 상대도 주먹을 든다. 그러나 주체와 객체는 분명하다. 거울 속 상대가 나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내가 거울 속 상대를 움직인다.”
문재인 정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인 김연철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저서 ‘70년의 대화’에서 남북관계를 거울을 마주하고 선 사람에 비유하며, 한국이 능동적인 자세로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구축으로 가는 첫 관문인 북·미 대화를 위해 문 대통령이 ‘중재자’로서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길 기대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