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 윌리엄스 사후 자살율 증가…베르테르 효과의 원인은 미디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경주 기자
입력 2018-02-08 17: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세계보건기구·국내 언론중재위원회, 자살 사건 보도 기준 엄격

[AP=연합뉴스]


2014년 8월11일 로빈 윌리엄스(63)가 스스로 생을 마감한 뒤 약 5개월 동안 미국 내에서 비슷한 사례가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르테르 효과'가 수치로는 확인된 셈이다.

로빈 윌리엄스는 지난 2014년 치매의 일종인 '루이소체 치매'진단을 받고 63세의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콜롬비아 대학 연구팀은 지난 2014년 8월 윌리엄스가 세상을 떠난 이후 12월까지 1만8690건의 자살이 보고됐다고 발표했다. 평균에 비해 약 9.8% 이상 늘어난 수치다.

연구팀은 "자살률이 늘어난 것이 로빈 윌리엄스가 원인이 됐다고 확실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  다만 윌리엄스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망한 경우가 32% 증가한 점을 고려했을 때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2013년 6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온라인 데이터를 연구한 결과, 로빈 윌리엄스의 사망 이후 스스로 사망하는 것에 대한 미디어 보도 및 검색어가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여기서 주목할 특징은 방법이다. 로빈 윌리엄스는 질식에 의해 숨졌는데 연구 기간 동안 특히 질식에 의한 자살 수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로빈 윌리엄스와 같은 방법으로 사망한 사람이 32% 늘어난 반면, 다른 방법에 의한 사망은 3%에 불과했던 것이다. 핑크 교수는 "미디어 보도가 자살 고위험군인 미국 중년 남성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자살 사건을 보도할 때 구체적인 방법을 보도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국내 언론중재위원회에서도 자살 괸련 보도에 대해 자세하게 묘사를 금지하는 등 엄격히 기준을 정하고 있다.

한편, 70여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한 로빈 윌리엄스는 '죽은 시인의 사회', '미세스 다웃파이어', '쥬만지'등으로 국내 팬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으며 '굿 윌 헌팅'으로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