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OECD 33개 회원국의 평균 실업률은 5.78%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5.63% 수준을 거의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2월 기준 OECD 회원국의 평균 실업률은 5.53%를 기록,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4월 5.59%보다 0.06%p 떨어진 수준이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실업률은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럽 재정위기가 터지면서 2010년 8.34%까지 급상승했다가 7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5%대로 내려앉았다.
일본 실업률도 같은 기간동안 3.84%에서 2.81%로 1.03%p 내렸다. 8년 째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미국의 실업률도 4.35%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4.62%) 수준보다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7년 연속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주요 7개국(G7)의 평균실업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 5.41%에 비해 지난해 5.00%로 0.41%p 하락·개선됐다.
이와 달리, 한국의 실업률은 지난해 3.73%를 기록해 글로벌 금융위기 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했다. 또 연간 기준으로 2013년 이후 4년 연속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는 분석이다.
2007년 3.25%였던 한국의 실업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0년 3.73%까지 상승한 뒤, 2013년 3.13%까지 회복했다.
다만, 이후 한국 실업률은 2014년 3.54%, 2015년 3.64%, 2016년 3.71%까지 상승세를 탔다.
상승세는 주춤했지만 지난해 역시 한국 실업률을 상승세를 벗어나지는 못했다.
선진국의 고용상황이 글로벌 금융위기 전으로 회복되는 추세이지만 한국만 악화되고 있다는 데 경제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지난해 실업률이 전년 대비 악화된 국가는 한국과 칠레 뿐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한국의 15∼24세 청년실업률은 10.3%로 전년보다 0.38%p 하락해 5년 만에 소폭 떨어진 정도다. 2014년 처음 10%대로 올라선 이후 4년째 두 자릿수를 유지한 만큼 청년 실업률 개선에 대한 대책 마련도 요구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