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환경인식조사(모바일 설문, 신뢰도 95%, 오차범위 ±3.10%)를 실시했다.이에따르면 응답자들이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한 환경오염 분야는 △대기환경(20.4%) △소음·진동(8.9%) △유해화학물질(8.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8년 조사와 비교해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크게 증가한 분야는 자연환경(1.2%→4.2%) 대기환경(8%→20.4%) 소음·진동(5.9%→8.9%)순으로 나타나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하수 중요도와 관련 ‘지표수(하천 호소 등 지표면에 있는 물)만큼 중요하다’의 응답은 73.7%, ‘지표수보다 중요하다’는 24.5%로 나타나 도민들은 지하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지하수 관리는 민간에서 하고 있지만, 도민의 90%는 ‘공공의 지하수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응답해 공공의 지하수 관리 요구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도민들은 하천의 가장 큰 변화로 하천경관변화(32.2%)와 수질악화(31.2%)를 꼽았으며, 이어 수량감소(18.8%)와 생물상 변화(17.8%)라고 답해 응답비율 간에 차이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양주 경기연 선임연구위원은 미래 환경을 위한 10대 제안으로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자동차 사업장 생물성연소 등 배출원 관리 △토양과 지하수 관리 △친환경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 △산줄기의 연결을 통한 자연기능의 보완 △분산 중복된 물 관리체제의 통합 △버리면 더 부담하는 폐기물 정책(자원순환기본법) 준수 △유해화학물질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축 △소통하는 환경교육 시행 △환경행정 조직은 적재적소에 기능이 배분되도록 재편 △자연훼손부담금을 지방특별회계로 운용 등을 선정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토양과 지하수는 중요한 자원임에도 현황 파악이 어렵고 관리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라며 “토양관리와 기후변화에 대비해 기초조사 및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세먼지, 친환경 에너지정책, 유해화학물질 관리 등 환경 문제의 정책대응을 위해 환경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며 “환경국의 기후변화 에너지 물관리 업무를 통합해 환경·에너지실(2급)로 개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