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GM 관계자 및 업계에 따르면 지난 23일 열린 한국GM 이사회에서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 만기 연장 안건과 연장 조건이었던 담보 제공 논의가 무산됐다. 정부와 한국GM 간 원활한 소통이 진행되면서 경영 정상화에 뜻을 모았기 때문이다.
한국GM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GM 홀딩스 LLC' 등 GM 본사와 계열사로부터 4.8~5.3%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해왔다. 만기를 계속 미루며 누적된 차입금은 약 2조97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은 1조1300억원에 대한 만기 시점이었다. GM 본사는 이 가운데 4000억원 정도를 회수한 뒤 약 7000억원에 대한 회수를 해야 했으나 이번 이사회를 통해 다시 한 번 연장됐다.
또한 △한국GM 정상화를 위한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 △구조조정 원칙에 따라 주주와 채권자, 노동조합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고통분담 △당장 어려움을 넘기는 응급처치가 아닌,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 등 3대 원칙도 내놨다.
GM 측은 "한국 정부의 3대 원칙에 대해 '합리적(reasonable)'이라 평가하고, 빠른 시일 내에 공식 채널을 통해 경영정상화 방안을 제출하겠다"며 정부 측 조건에 응했다.
실사는 이르면 이번 주 후반부터 돌입한다. 현재까지는 산업은행과 한국GM이 실사 합의서에 넣을 문구를 최종 결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보통 2~3개월 걸리는 실사 기간을 1~2개월로 단축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실사를 맡은 삼일회계법인은 이미 기초 작업을 시작했으며, 이르면 3월 말에서 최장 4월 중에는 실사 결과를 확보할 예정이다.
실사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되면서 한국GM 경영 정상화의 일환으로 내놓은 신차 배정 문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GM은 3월 초 글로벌 각 사업장에 차종 생산량을 배분한다. 앞서 배리 엥글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정부와 국회 등에 "글로벌 자동차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신차 2종을 부평과 창원 공장에 투자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부평공장에는 SUV 신차를, 창원공장에는 다목적차량(CUV) 신차를 배정해 한국에서만 연간 50만대 생산량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한국GM 관계자는 "아직 실사가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차종 배치를 섣불리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한국 정부가 만족할 수준의 신차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