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7조' 3D프린터 시장…본격 육성 나선 과기정통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지예 기자
입력 2018-03-01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한준호 기자 ]

지난해 기준으로 글로벌 7조원 규모에 육박, 오는 2023년 최대 21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3D 프린팅 산업에 정부가 올해 457억원을 투입키로 결정했다. 미국이 1980년대부터 이미 3D프린터 시장에 주목한 것에 비하면 한참 늦었다는 목소리도 높지만, 꾸준히 규모가 커지고 있는 국내 3D프린팅 산업에 대한 지원 폭이 커졌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지난 1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발표한 3D프린팅 산업실태조사에 의하면 국내 시장 규모는 2016년 2971억원보다 16.8% 증가한 3469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기업 수는 253개에서 302개로 19.4% 증가했다.

이에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총괄 하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2018년도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을 위해 지난해 보다 11% 증가한 457억원을 투입키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시행계획에 따라 정부는 먼저 3D프린팅 산업의 신규 시장수요 창출의 일환으로 철도·재난안전 등 공공부문 단종·조달 애로부품과 자동차·전자 등 5종의 산업부품, 가구 등과 같은 생활밀착형 제품을 시범 제작하기로 했다.

병원 수요를 받아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를 3D프린팅으로 제작 지원하는 실증테스트베드 구축과 의료기기 인증도 실시한다. ‘인체 맞춤형 치료물 제작지원센터’를 통해 의료기기를 인증하고 차세대 맞춤형 3D프린팅 의료기기 제작을 추진해 의료분야의 3D프린팅 활용성 증대는 물론, 의료사고 사전 예방과 수술시간 단축, 수술의 성공률 향상 효과까지 얻는다는 목표다.

더불어 3D프린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장수요가 많고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바이오분야 핵심 소프트웨어(SW) 개발에 힘을 쏟는다. 조선, 자동차, 기계, 의료, 건설 등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3D프린팅 장비·소재 개발도 지원한다.

3D프린팅 스캐닝 분야의 국제표준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적층가공기술의 데이터포맷이나 시험방법 관련 용어 등 국제표준 2종을 국가 기술표준(KS)으로도 도입키로 했다.

9개 3D프린팅 지역센터와 6개 제조혁신지원센터의 시제품 제작 지원기반을 확충하고, 문화재 및 생활용품 등 활용수요가 높은 디자인을 3D콘텐츠로 제공해 3D프린팅 산업확산 기반도 강화한다. 더불어 올해부터 시행되는 '3D프린터개발 산업기사' 등 국가 기술자격 제도 역시 검정기관 선정 등을 통해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미비했던 3D프린팅 산업 관련 제도적 기반도 마련키로 했다. 장비·소재와 출력물에 대한 품질평가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소프트웨어 제품군별 품질평가 모델 개발 등 품질평가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또한 3D프린팅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보급하고, 3D프린팅사업 종사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도 추진한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3D프린팅은 4차 산업혁명을 실현하는 핵심기술로서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확산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부처 간 협력을 통해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