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사진공동취재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전쟁이 시작된 가운데, 백악관이 면제에 대해 언급했다. 하지만 국제기구들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2일(현지시간) 백악관의 한 관계자는 AFP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제외 대상 없는 전면적 관세가 될 것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다만 '사례별로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가능성 있는 면제'를 주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산업 보호를 위해 미국의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캐나다와 유럽연합(EU)은 "철강 관세 방침을 철회하지 않으면 보복 조치를 하겠다"며 반발에 나섰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한 나라(미국)가 거의 모든 나라와의 무역 거래에서 수십억 달러를 잃고 있다면, 무역전쟁을 하는 것이 좋고 이기기 쉽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한 특정 국가로부터 1000억 달러를 손해 보는데 그들이 약삭빠르게 굴면, 더는 무역하지 말아라. 우리는 크게 이기고, 이것은 쉽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다른 트윗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한 국가에서 우리 제품에 50%의 세금을 부과할 때 우리가 같은 제품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은 공정하지도 영리하지도 않다. 우리는 곧 호혜세(reciprocal tax·다른 나라와 무역을 할 때 다른 나라가 부과하는 세금만큼 그 나라에 똑같은 세금을 물리겠다)를 곧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태도에 세계무역기구(WTO)와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비판에 나섰다.
WHO 측은 "미국의 발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 무역전쟁이 확대될 가능성이 현실이 되고 있다"고 우려했고, IMF 측 역시 이례적으로 "미국 외부뿐 아니라 미국 경제 자체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