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패럴림픽 기간 KTX 장애인석·편의시설 확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성환 기자
입력 2018-03-05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토부, 9~18일 패럴림픽 교통약자 위한 다양한 수송 대책 운영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출정식이 2일 서울 세종대로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선수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국토교통부는 오는 9~18일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 패럴림픽 기간 다양한 수송 대책을 마련해 운영한다고 5일 밝혔다.

국토부는 패럴림픽이 진행되는 동안 인천공항~강릉 간 4회를 포함해 경강선 KTX를 하루 편도 주중 22회, 주말 30회 운영한다.

특히 편성당 휠체어 좌석을 기존 5석에서 15석으로 확대한다. 휠체어 좌석은 장애인용 화장실 등 시설을 갖춘 1, 2호차에 배치한다.

비휠체어 장애인을 위해 3~8호 차량 객차당 10석씩 총 60석을 우선 예약 좌석으로 운영한다. 출발 20분 전까지 예매가 이뤄지지 않으면 일반석으로 전환된다.

교통약자의 열차 승·하차와 환승 등을 돕기 위한 코레일 장애인 도우미 제도가 확대 운영된다. 해외 휠체어 이용객의 인천공항~개최지 이동 간 서비스 사각지대가 없도록 인계 지점과 소관 구역을 명확히 하는 등 기관 간 협조 체계를 구축했다.

인천공항 내 장애인 전용 라운지와 패스트 트랙은 운영한다. 또 고속도로 휴게소와 졸음쉼터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정비·확충해 관련 시설을 개선했다.

개최 지역 내에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직위원회와 협력해 저상버스 48대와 특별교통수단 139대를 마련했다. 저상버스는 관중 셔틀버스 13개 노선에 투입돼 노선별로 6~20회씩 운행된다.

평창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패럴림픽 전체 관중 22만명 중 휠체어 관광객은 3500여명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외국인은 100여명 수준이다.

김정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패럴림픽 기간에도 조직위 교통관리센터에 국토부 인력을 파견해 수송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상황반을 편성·운영하는 등 원활한 교통 운영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