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3/06/20180306103040643203.jpg)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말 서울 강남의 한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감기 주사를 맞은 41명의 환자가 피부가 썩어들어가는 집단감염 사고가 발생했다. 3개월이 지난 지금 환자는 46명으로 늘었고, 상처는 더 심각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은 주사 맞은 부위에 통증, 붓거나 붉어지는 증세, 딱딱한 덩어리, 상처가 벌어진 증세, 고름 중 한 가지 이상의 부작용을 보였다.
6일 JTBC 보도에 따르면 강남의 이비인후과 간호조무사는 1회 사용 목적인 20ml 제품을 물품 보관함에 두고 2~3일 동안 사용하고, 진료비를 수백만 원 청구했다. 또 멸균되지 않은 솜과 일회용 장갑으로 알콜솜을 만들어 사용하는 등 위생 관리 곳곳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병원과 제약사는 콜레라 등 법정 감염병 말고는 치료비를 지원할 법적 근거가 없어 질병관리본부의 최종 발표가 나와야 보상이나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이에 수백만원에 달하는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피해자들은 "병원비가 없어서 돈을 빌린 사람도 있다" "아르바이트하면서 700만 원 정도 병원비를 메웠다"고 울분을 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병원 진료 과정에서 집단 부작용이 일어나면 정부가 일단 치료비를 대납하고 나중에 책임 소재를 따지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