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조선 등 기간산업 부진에 국내 금융시장은 물론 경제 전반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채권은행의 볼멘소리와 함께 지역경제 또한 구조조정의 직격탄을 맞은 상태다.
통계청이 발표한 광역경제권 산업생산지수 동향을 보면 최근 5년(2013~2017년)간 대경권(대구·경북권)의 산업생산(원지수 기준)은 -11.0%, 동남권(부산·울산·경남권) 산업생산은 -10.8%로 대폭 감소했다. 영남권 경제가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지난해까지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올해는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등으로 호남권 경제가 흔들릴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업은 조선업보다 상황이 다소 양호하지만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의 관세를 강화한다고 밝히면서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최근 원·달러 환율의 움직임에도 반영됐다.
기간산업의 붕괴는 개별 경제주체뿐만 아니라 거시적으로도 엄청난 파장을 일으킨다. 실제로 대우조선해양 등 경영 정상화가 한창인 기업들에는 채권은행의 막대한 신규 자금이 투입됐다.
은행들도 여신 상환이 어려울 것에 대비해 대손충당금도 적잖이 쌓아왔다. 특히 지방은행은 해당지역의 기업대출 비중이 높은 만큼 공장 폐쇄나 철수 등에 더 취약하다.
게다가 지역경제 성장을 주도하던 기업이 문을 닫으면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주체는 임직원이다. 일자리를 감소시키고, 개인 빚을 늘리는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생산성도 낮아져 경제 성장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업황이 차츰 개선되고 있다고 해도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와 산업, 금융계의 긴밀한 공조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