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국내 연구결과에 따라 미국이 수입철강에 25% 관세를 매길 경우, 한국의 부가가치는 앞으로 3년간 1조3000억원 이상 줄어들고 취업자도 1만4000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 327호에서 열린 '美 무역확장법 232조 최종결정 관련 민관합동대책회의'에 정락 포스코 부사장, 정락 포스코 부사장, 이휘령 세아제강 부회장, 임동규 동국제강 부사장, 박훈 휴스틸 사장 등 7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미국의 25% 철강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우려와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을 강구했다. 정락 포스코 사장은 "수출에 크나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이 부분을 정부와 같이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규 동국제강 부사장은 "미국은 어차피 수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이것보다는 사실 연례재심이 많이 걱정된다"고 말했다.
미국은 한 번 부과한 관세에 대해 매년 연례재심을 통해 덤핑 여부와 관세율을 다시 결정한다. 중견 강관업체인 넥스틸은 지난해 10월 미국 연례재심 예비판정에서 유정용강관(OCTG)에 대해 46.37%의 관세를 부과 받았기 때문에 이번 조치로 관세가 71.37%까지 늘어났다.
이휘령 세아제강 부회장은 "(미국의 결정이) 상당히 안타깝고 아쉽다"며 "정부와 현명한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국내 철강업계에 어둠의 그림자가 드리웠지만, 희망의 불씨는 살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을 방문 중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측에 '수입철강 25% 관세' 부과 조치 대상국 중 한국을 제외해 달라고 요청해 긍정적 답변을 얻었기 때문이다.
정 실장은 특히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철강 관세 예외 조치의 당위성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시한 사항으로 철강재 관세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일각에선 한국만이 아닌 경쟁국들도 함께 관세를 부담하게 된 만큼 안도의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당초 특정국에 초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컸지만, 미국이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을 내린 이유에서다. 이로 인해 한국산 철강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대부분은 일부 상쇄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