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5G-와이파이간 끊김없는 서비스 기술 개발

ETRI 연구진이 5G-WiFi 간 이동성 제공을 위한 기능확인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KT와 랜버드테크놀러지, 에스넷아이시티 등 국내 중소기업들과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을 해도 5G와 와이파이(WiFi) 간 제한 없는 이동서비스가 가능한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망체계는 3G망, 4G LTE 망, 유선망 등이 별개로 운영되며, WiFi 혹은 4G LTE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하곤 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사용해 동영상을 보다가 지하철을 타게 되면 열차 내부의 와이파이로 핸드오버가 잘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동영상이 끊기거나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했었다.

앞으로는 5G, WiFi, 유선가입자망 등 다양한 이종(異種) 유·무선 접속 환경이 단일 네트워크, 단일 제어체계 하에 수용됨에 따라 이러한 불편이 사라질 전망이다.

ETRI는 지난 2015년부터 다양한 이종 유·무선 접속 환경을 단일 네트워크로 수용, 단일한 신호체계로 제어하는 요구사항을 전제로 ‘5G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다. 연구진의 기술선도는 이동통신 국제규격단체인 3GPP보다 1년 이상 앞서 시작된 셈이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향후에는 사용자가 5G, WiFi 등의 접속방법을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바로 5G 네트워크 자체에서 WiFi나 5G 가입자의 사용량을 파악, 자동 선택해 사용자가 이동시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케 된다는 것이다.

박노익 ETRI 네트워크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은 5G 시대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기술이다. 그동안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고민해 표준규격 제정보다 앞서 기술개발을 이루어 낸 만큼 향후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종식 KT 상무도 "5G, WiFi, 유선 등 다양한 유·무선 망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의미가 크다. 앞으로 상용 5G 망에서 유·무선 접속 방식에 상관없이 항상 최적의 품질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