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한 지배구조 논란 속에서 공공 성격의 기업들이 흔들리고 있다. 주인 없는 기업의 한계가 곧장 수장들의 셀프 연임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며 국민의 눈총을 받는 상황이다.
이들 기업의 수장은 대내외적인 반발에도 경영정상화보다 아전인수 격의 조직 개편으로 노조 측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수장의 연임 성패가 갈리고 있지만, 이들 기업의 공정하고 투명한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는 분위기다.
◆금융권은 수장 연임과 지배구조 변화 주목
하나금융지주는 23일 주총을 연다. 무엇보다 김정태 회장의 3연임에 관심이 쏠린다. 당초 김 회장의 3연임은 무난히 통과될 전망이었지만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채용비리 의혹으로 사퇴하고 당국과 하나금융의 힘겨루기가 재차 주목받으면서 연임 안이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됐다.
서스틴베스트와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는 김 회장의 연임에 반대를, 외국계 주주들에게 영향력이 큰 ISS는 최근 김 회장 취임 이후 하나금융지주 실적이 개선됐다는 이유를 들어 김 회장의 연임 지지를 권고한 상황이다. 하나금융의 외국인 주주비율은 74%로 연임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지주는 2015년 4명을 신규 선임한 이후 최대 폭의 사외이사 교체에 나섰다. 사외이사 8명 중 5명을 신규 선임했다. 백태승, 박시환, 김홍진, 양동훈, 허윤 등 5명이 새 사외이사 후보에 이름을 올렸고, 기존 사외이사 가운데서는 윤성복, 박원구 이사가 연임한다. 박시환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12기 동기로,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대법관을 지낸 인물이다.
‘셀프 연임’에 대한 비난은 KB금융지주에도 쏟아진다. 김정태 회장에 이어 윤종규 회장 역시 자신이 지명한 사외이사로 구성된 이사회와 회장추천위원회를 통해 연임에 성공했다는 지적이다. 윤 회장을 견제하기 위한 노조 측의 사외이사 선임에 시선이 모이는 이유이다.
이 같은 금융지주사의 셀프 연임에 대해 금융위 차원에서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금융위원회가 지난 15일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셀프연임을 제한하는 등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법안도 발의된 상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금융회사 CEO와 사외이사 선출 과정에 경영진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개입돼 독립성과 공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사외이사의 선출 과정이 독립적이지 못하다 보니 경영진의 활동을 견제하지 못하고,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종속됐던 것은 앞으로 개선돼야 할 문제”고 강조했다.
◆‘버티기식 연임’은 기업 비전 보장 못해
주인 없는 공공 성격의 기업수장이 ‘셀프 연임’을 통해 버티다 보니, 기업 비전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기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특히 적폐 대상으로 떠오른 박근혜 정권의 인사라는 이미지가 강해 현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과 맞물린 경영혁신에 나설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김영상 포스코대우 사장의 재선임안은 지난 12일 통과됐다. 이사회에 앞서 주총의안분석기관인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CGCG)가 사내이사 후보인 민창기 경영기획본부장에 대해 반대를 권고하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보고서에서 CGCG는 "거래관계가 있는 대우로지스틱스의 사외이사로 재직하며 포스코대우의 등기이사를 겸직하는 경우, 이해충돌의 위험이 우려된다"며 "민창기 후보의 선임에 대해 반대를 권고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다만 이에 대한 언급 없이 총회는 사장 연임과 사내·사외이사 선임을 가결했다.
지난해 연임한 KT 황창규 회장은 국정농단의 유탄을 피했지만,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다.
황창규 회장은 2014년 1월 박근혜 정부 시절 취임, 2017년 3월 연임에 성공하며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KT 불법 정치자금 제공 의혹이 터지며, 황 회장이 이에 관여했다는 정황에 대해 경찰소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해 연임 성공이 ‘시한부 축포’가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와 달리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연임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달 말 주주총회에서 연임안 상정이 보류된 탓이다.
정부와 여권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최근 연이어 신규 수주를 달성하고 있지만, 과거처럼 부실수주가 섞여있는 지에 대해 전문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신규 수주가 이어지는 분위기를 이어나갈 새 인물론이 부상하고 있다.
민간연구소 한 연구원은 “공공 성격을 띤 기업들의 수장들은 정치적인 성향보다, 실무적인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며 “변화를 일궈나가는 현 정부의 정책추진 속에서 이들 기업이 어느 기업보다 앞장서야 하는 만큼, 향후 코드 인사보다 경영능력을 인정받은 수장을 임명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들 기업의 수장은 대내외적인 반발에도 경영정상화보다 아전인수 격의 조직 개편으로 노조 측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수장의 연임 성패가 갈리고 있지만, 이들 기업의 공정하고 투명한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는 분위기다.
◆금융권은 수장 연임과 지배구조 변화 주목
하나금융지주는 23일 주총을 연다. 무엇보다 김정태 회장의 3연임에 관심이 쏠린다. 당초 김 회장의 3연임은 무난히 통과될 전망이었지만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채용비리 의혹으로 사퇴하고 당국과 하나금융의 힘겨루기가 재차 주목받으면서 연임 안이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됐다.
하나금융지주는 2015년 4명을 신규 선임한 이후 최대 폭의 사외이사 교체에 나섰다. 사외이사 8명 중 5명을 신규 선임했다. 백태승, 박시환, 김홍진, 양동훈, 허윤 등 5명이 새 사외이사 후보에 이름을 올렸고, 기존 사외이사 가운데서는 윤성복, 박원구 이사가 연임한다. 박시환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12기 동기로,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대법관을 지낸 인물이다.
‘셀프 연임’에 대한 비난은 KB금융지주에도 쏟아진다. 김정태 회장에 이어 윤종규 회장 역시 자신이 지명한 사외이사로 구성된 이사회와 회장추천위원회를 통해 연임에 성공했다는 지적이다. 윤 회장을 견제하기 위한 노조 측의 사외이사 선임에 시선이 모이는 이유이다.
이 같은 금융지주사의 셀프 연임에 대해 금융위 차원에서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금융위원회가 지난 15일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셀프연임을 제한하는 등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법안도 발의된 상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금융회사 CEO와 사외이사 선출 과정에 경영진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개입돼 독립성과 공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사외이사의 선출 과정이 독립적이지 못하다 보니 경영진의 활동을 견제하지 못하고,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종속됐던 것은 앞으로 개선돼야 할 문제”고 강조했다.
◆‘버티기식 연임’은 기업 비전 보장 못해
주인 없는 공공 성격의 기업수장이 ‘셀프 연임’을 통해 버티다 보니, 기업 비전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기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특히 적폐 대상으로 떠오른 박근혜 정권의 인사라는 이미지가 강해 현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과 맞물린 경영혁신에 나설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김영상 포스코대우 사장의 재선임안은 지난 12일 통과됐다. 이사회에 앞서 주총의안분석기관인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CGCG)가 사내이사 후보인 민창기 경영기획본부장에 대해 반대를 권고하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보고서에서 CGCG는 "거래관계가 있는 대우로지스틱스의 사외이사로 재직하며 포스코대우의 등기이사를 겸직하는 경우, 이해충돌의 위험이 우려된다"며 "민창기 후보의 선임에 대해 반대를 권고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다만 이에 대한 언급 없이 총회는 사장 연임과 사내·사외이사 선임을 가결했다.
지난해 연임한 KT 황창규 회장은 국정농단의 유탄을 피했지만,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다.
황창규 회장은 2014년 1월 박근혜 정부 시절 취임, 2017년 3월 연임에 성공하며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KT 불법 정치자금 제공 의혹이 터지며, 황 회장이 이에 관여했다는 정황에 대해 경찰소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해 연임 성공이 ‘시한부 축포’가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와 달리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연임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달 말 주주총회에서 연임안 상정이 보류된 탓이다.
정부와 여권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최근 연이어 신규 수주를 달성하고 있지만, 과거처럼 부실수주가 섞여있는 지에 대해 전문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신규 수주가 이어지는 분위기를 이어나갈 새 인물론이 부상하고 있다.
민간연구소 한 연구원은 “공공 성격을 띤 기업들의 수장들은 정치적인 성향보다, 실무적인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며 “변화를 일궈나가는 현 정부의 정책추진 속에서 이들 기업이 어느 기업보다 앞장서야 하는 만큼, 향후 코드 인사보다 경영능력을 인정받은 수장을 임명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