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규의 알쓸軍잡] 생각보다 ‘안 빡센’ 북한군 훈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성동규 기자
입력 2018-03-22 19: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한미연합훈련이 열흘 후 시작됩니다. 가장 규모가 큰 한미 연합훈련인 ‘독수리훈련’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는 ‘키리졸브 연습’이 원래 매년 3월 즈음 진행됐으나 ‘2018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으로 인해 미뤄진 것입니다.

그동안 한미연합훈련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북한이 최근 대북 특사단에 '예년 수준으로 진행하는 것을 이해한다'라고 밝혀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북한은 중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와 연합훈련을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북한군 훈련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북한군. 사진=연합뉴스]


◇ 북한군 훈련 크게 동계와 하계로 나뉜다

북한군의 훈련은 크게 12월 초부터 다음 해 4월 말까지 진행되는 동계 훈련과 7월부터 9월 말까지 이뤄지는 하계 훈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해당 훈련 때에는 육·해·공과 인민보안성(경찰), 교도사단, 700만 예비 병력이 참여하는 대규모 훈련입니다.

다만 농번기와 시기가 겹치는 하계 훈련 땐 병사들의 배식량이 적어 식량 일부를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다 보니 훈련보다는 농사일에 매진한다고 합니다. 군사훈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동계 훈련인데요.

우선 12월 한 달간 정치사상, 군사규율, 규정학습 등 이론교육과 제식, 4km 행군, 격술 등 야외훈련을 병행합니다. 1월이 되면 보병은 분대 전술 훈련의 숙달 정도에 따라 소대 중대별 진지구축과 공격과 방어 소부대 전투 요령 등을 훈련합니다.

포병들은 산악, 계곡. 도로 등 기동훈련과 각종 지정된 위치에 시간 내에 도착해 위장된 사격 진지를 만듭니다. 이를 반복하면서 최종목적지인 군단 혹은 사단 내 사격장에 도착해 포사격 후 귀대합니다.
 

[북한 공군의 '도보비행훈련'. 사진=연합뉴스]


◇ "장난치는 거 아니다. 우리는 매우 진지하다"

공병은 사단 집체교육을 통해 도하작전, 공병정찰, 지뢰매설과 제거훈련을 하고 통신병들은 소대 단위로 산악지역에 토굴 숙영지를 개설하고 유무선 조작 악천후 속 통신접속 장비관리와 정비훈련을 진행합니다.

2월 말이 되면 병과 별 훈련을 끝내고 사단과 연대 종합 야외기동훈련을 합니다. 그런데 지난 2006년 북한 1차 핵실험 이후 대북제재로 원유 수급에 차질을 빚은 데다 식량을 구하기 위해 기름을 몰래 파는 사례가 많아 탱크와 차량을 이용한 훈련을 하지 않을 때도 있다고 합니다.

얼음이 녹기 시작하는 3월에는 군단급 대규모 훈련이 진행됩니다. 육·해·공군과 특수부대가 참가하긴 하는데 유류난이 심각하기도 하고 남한으로 귀순할 가능성도 커 거의 전투기를 전개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공군의 전투기 조종사들이 2015년 바닥에 지도를 그려놓고 모형비행기로 김정은 위원장 앞에서 훈련하는 모습이 공개돼 국제적인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습니다. 새터민 등에 따르면 공군 전투기 조종사들은 조정훈련을 연평균 10시간(우리군 10분의 1 수준) 정도밖에 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북한군 특작부대. 사진=노동신문]
 

◇ 돈 안드는 특작부대 훈련 매우 ‘빡세’

기사를 꼼꼼히 읽었다면 도대체 북한군은 사격훈련을 언제 하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사격훈련을 잘 하지 않습니다. 북한에는 탄약과 포탄 등을 대규모로 생산하는 시설이 없어 새로 만들면 전시비축물자로 전량 창고에 직행한다고 합니다.

훈련에 사용되는 탄약과 포탄은 보존 기한이 끝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불발 확률이 매우 높아 제대로 훈련을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나마 상태가 좋은 탄약과 포탄을 모아 두었다가 김정은 위원장이 참관하는 훈련에 대부분을 사용한다고도 합니다.

훈련이나 장비 상태가 엉망이라고 해도 북한군이 대규모로 밀집하는 동계훈련 기간은 우리에게 위협이 됩니다. 우리 군과 미군이 비슷한 시기에 연합훈련을 하는 것도 매년 ‘4월 위기설’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다만 돈(?)이 들지 않고 거의 몸으로 때우는 특작 부대는 매우 혹독하게 훈련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훈련받은 특작 부대 요원들은 세계의 주요 분쟁 지역에 군사 고문단 형태로 파병돼 사실상 용병 역할을 하면서 외화벌이에 이용되기도 합니다.
 

[아프리카 일대와 시리아 등에 북한군이 용병으로 투입됐다는 의혹이 있으며 일부 사실로 드러났다. 사진=pinterest]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