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훈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한성원 연구원은 25일 'KIRI 리포트'에 게재된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지방자치단체 공동화 가능성' 보고서에서 "올해부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함에 따라 인구 고령화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지자체는 청년 인구 유출로 고령화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실제로 통계청의 행정구역별 주민등록 자료를 바탕으로 행정구역별 인구와 65세 인구 비율(고령화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인구 고령화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령화의 충격이 인구 이동으로 지자체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지자체 공동화·양극화가 발생할 수 있어 지자체의 경쟁력을 키우면서 정부 차원에서 지자체 통폐합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