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그룹 CI. [사진 제공= 두산그룹]
두산그룹이 계열사별로 '최고경영자(CEO)-최고재무책임자(CFO) 각자 대표체제'를 갖춘 것을 놓고, 재무건전성 강화가 목적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30일 ㈜두산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충무아트홀에서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동현수 사업부문장(사장)과 김민철 지주부문 CFO(부사장)를 새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동 사장과 김 부사장은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과 함께 공동 대표이사를 맡게 된다.
㈜두산은 이들의 이사회 합류를 계기로 전자, 연료전지 등 자체 사업을 강화하고,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동 사장은 서울대 섬유공학과를 나와 고분자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자 소재 전문가다. 전자사업 강화를 위해 지난 2012년 영입됐다.
이번에 대표이사에서 물러난 이재경 ㈜두산 부회장은 부회장직을 계속 유지하며, 후방지원할 예정이다.
이보다 앞서 지난 29일 두산중공업은 정기주주총회에서 김명우 관리부문장(사장)과 최형희 재무관리부문장(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이들은 이사회를 거쳐 대표이사로도 선임됐다.
이에 따라 두산중공업은 박지원 회장과 김 사장, 최 부사장 등 3인 대표이사 체제를 갖췄다. 17년간 두산에 몸담았던 정지택 부회장은 경영 일선에서 퇴진해 고문으로 활동한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8일 고석범 재무관리부문장(전무)을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손동연 사장과 고 전무가 각자 대표를 맡는다.
두산 계열사 CFO들은 재무구조 개선이라는 큰 과제를 해결해야 할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두산그룹의 차입금은 11조원에 이른다. 부채비율은 272.1%다.
이재경 ㈜두산 부회장은 이날 주총 인사말에서 "올해 전자BG(사업부문)와 산업차량BG, 모트롤BG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을 모두 큰 폭으로 성장시키겠다"며 "연료전지BG는 1조5000억원 이상의 수주를 달성해 안정적 사업기반을 확보하고, 면세BG는 시내면세점 시장점유율을 7%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 부회장은 "올해 계열사들의 활약이 기대된다"며 "두산중공업은 검증된 원전 기술력으로 해외 수주를 가시화할 것이며,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밥캣은 안정적인 시장 성장세에 따른 매출 및 수익성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