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쫒기는 ICT 강국] 규제완화 등 생태계 조성으로 4차 산업시대 적응하는 中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군득 기자
입력 2018-04-10 15: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中 정부 원격의료 등 헬스케어 관련 유니콘 기업 육성 박차

  • 텐센트 등 대기업도 동참…선순환 체계 갖춰 세계시장 노린다

중국은 각종 규제완화 등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 조성을 통해 4차 산업시대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 기술력은 한국이 우위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와 주도권은 중국에 넘어간 모양새다.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도 다르지 않다. 우리나라는 일찌감치 관련 기술과 특허를 보유하고, 세계시장 진출 채비를 갖췄다. 기술환경에서도 중국보다 좋은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적인 지원이 부실하다. 원격의료는 지난 정부에서도 국회 문턱에 가로막혀 백기를 들었다. 그 사이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 성지’로 거듭나고 있다.

중국 ICT 대표 기업인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까지 가세하며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은 무서운 상승세와 잠재력을 갖췄다.

◆적극적인 지원 나선 정부···기회를 잡은 기업들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은 정부와 기업의 유기적인 호흡이 만들어낸 최고의 성과로 평가된다. 갈 길은 멀지만 확고한 시장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절반의 성공을 일궈냈다.

중국 정부는 2013년부터 원격 의료사업을 시행했다. 2014년부터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 성장률이 상승곡선을 그리기 시작, 지난해에는 증가율이 전년과 비교해  62.8%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환경조성을 위해 의료산업 규제완화 카드를 꺼냈다. 2014년에 원격의료 비준‧감독 권한을 지방정부에 위임하는 등 지자체에 권한을 부여했다.

또 2015년에는 국무원에서 사물인터넷·클라우딩·웨어러블기기 등 기술을 활용, 원격의료 서비스 등을 확산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밖에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세 차례에 걸쳐 모바일 헬스케어 진흥정책을 내놓고, 기업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헬스케어 산업 투자액을 2015년 3조 위안에서 2030년 16조 위안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중국 대표 ICT 기업들인 BAT가 시장에 뛰어들었다.

BAT는 사업에 착수하자마자, 적극적인 투자와 사업 확대를 추진 중이다. 바이두는 2015년부터 중국의 대표적인 대형병원인 ‘301병원’과 합작, 모바일인터넷 의료플랫폼인 ‘바이두닥터’ 앱을 출시했다.

2016년에는 인공지능을 활용, 문자로 의사의 환자진료를 돕는 챗봇(대화로봇) 서비스인 ‘멜로디’ 서비스로 시장의 주목을 끌었다.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 기반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기반으로 △의료비 결제 △회원 및 데이터관리 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등을 응용한 ‘미래병원’을 운영 중이다.

중국판 카카오톡 ‘위챗’을 운영 중인 텐센트는 2014년 최대 의학 포털사이트 딩샹웬을 인수하면서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했다.

지난해 3월에는 ‘인촨스마트병원’을 설립, 원격진료 시장에까지 진출했다. 보험회사와 연계해 헬스케어서비스 사업영역 확대도 모색 중이다.

◆유니콘 기업의 약진···창업 붐 주도하는 생태계

중국의 경우 정부의 창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창업 붐이 일고 있다.

2014년 다보스포럼에서 리커창 총리는 ‘대중창업 만인창신’ 정책을 발표하며, 향후 1억명의 정보기술(IT) 스타트업인 ‘창커’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 역시 창커 육성분야의 하나로 성장하고 있다. 2016년 7월 중국 리서치 기관인 ‘아이리서치’에 따르면, 2016년 중국 300대 유니콘기업 중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분야 기업은 21개로, 7.0%를 차지하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스타트업은 모바일 헬스케어 생태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혁신을 이끌어내는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관련 분야의 스타트업 수가 미미하다. 산업 생태계 불균형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조은교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스타트업은 모바일 헬스케어 생태계에서 혁신을 이끌어내는 성장의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시장활성화를 목표로 산업 육성을 위한 법 제정과 규제완화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