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서울남부지법에 따르면 문씨는 3월 말 심 부의장과 정준길 전 자유한국당 서울 광진을 당협위원장,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을 상대로 각각 8000만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문씨는 ‘국민의당(현 바른미래당) 제보조작’ 사건에 연루된 이준서 전 최고위원, 김성호 전 의원, 김인원 변호사, 당원 이유미씨, 당시 국민의당 소속이었던 이용주 민주평화당 의원과 바른미래당 등을 상대로도 총 2억5000만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은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문씨가 한국고용정보원에 특혜 채용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먼저 준용씨는 소장에서 문 대통령이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재직했던 2007년 당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특혜채용이 아님이 밝혀졌다고 주장한 점을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심 부의장은 “권재철 한국고용정보원장은 국회에서 수차례 위증을 하며 채용 의혹을 비호했지만, 결과적으로 해당 기관에 기관주의 행정처분과 인사채용 담당자 3명의 견책·경고 조처가 내려졌다”고 밝혔다.
그는 또 2010년 이명박 정부 당시 고용노동부의 재조사에서도 특혜채용이 없었음이 재차 확인됐다는 준용씨의 주장에 대해서도 “해당 건은 2010년 11월 고용노동부 감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이는 2012년 국회 국정감사 결과처분 이행 자료에도 명시된 사항”이라고 주장했다.
심 부의장은 “한국고용정보원의 인사책임자인 황기돈씨도 국회 증언에서 채용 공고 내용과 절차상의 잘못이 있다고 시인했다”면서 “‘황제 휴직’ 중에 한 3개월짜리 미국 내 불법 인턴취업도 고용정보원으로부터 사전 허락받은 프로그램 안에 포함돼 있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대선 기간 중 준용씨의 특혜채용 의혹에 관한 국민적 요구에 부응해 국회의원으로서 의혹 해소에 최선을 다했다”면서 “그런데 여전히 준용씨는 해명 노력은 뒷전인 채 민사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는 대통령 아들로서 지녀야 할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의식이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