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6·13 지방선거' 서울시장 경선후보인 우상호 의원은 13일 19대 국회의원 재직 시절 로비성 출장 의혹 등으로 야당의 사퇴 압박을 받는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는 맞지 않지만 김 원장의 자질과 능력을 능가하는 심대한 도덕적 하자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 따라서 제기되는 의혹들이 사퇴할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우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서울시 관련 정책 시리즈' 발표한 뒤 더미래연구소와 김 원장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밝혔다.
우 의원은 "김 원장이 시민단체 출신으로 엄격하게 자기 관리를 왜 못했냐는 도덕적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나 이걸 사퇴로 몰고 가는 건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가 잘못됐다는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그는 "김 원장이 사퇴하면 그 다음은 조국 민정수석에게 검증에 대한 책임을 물으며 사퇴로 몰고 갈 것이고 결국엔 문 대통령에게 이 문제를 책임지고 사과하라고 하지 않겠나. 지방선거에서 '인사 실패 정권'을 활용하기 위해 펴는 '지방선거용 정치공세'기 때문에 이 문제를 불편해 하는 국민의 마음을 알면서도 단호하게 대응하고 싸워야겠다고 다짐했다"고 밝혔다.
특히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가 공격수로 나선 데 대해선 "정말 어이가 없다. 김 원내대표는 적어도 이 문제(로비성 출장 의혹 등)에 대해선 발언해선 안 된다. 피감기관 비용으로 본인의 지역구 민원을 해결하는 분이 아무런 죄책감없이 타인을 공격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거야 말로 고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진보 싱크탱크 추진의 어려움에 대해 호소하기도 했다. 우 의원은 더미래연연구소는 본인의 제안으로 19대 국회 초반부터 추진됐으며, "사무실 임대, 연구원 채용 과정에서 3억원이라는 자본금이 금방 사라질 위기였다. 대기업 후원금을 받지 않으려다 보니 운영의 어려움을 겪었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진보 싱크탱크를 만드는 게 얼마나 힘들고 고단한 일인지 이해해달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