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4/15/20180415133051170060.jpg)
한국당의 선거운동은 크게 ‘투 트랙’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당 선대위가 ‘사회주의 개헌’·‘위장 평화쇼’·‘경제 파탄’ 등 각종 현안을 중심으로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지역 선대위에서는 지역 맞춤형 공약과 인물을 내세워 밑바닥 표심을 파고들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한국당은 공천 작업부터 속도감 있게 진행해왔다.
중앙당 선대위원장은 외부인사가 맡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홍준표 대표는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현장에서 지상전을 책임질 지역 선대위원장은 해당 지역의 중진의원이 맡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선거 국면에 돌입하게 되면 당 운영방식을 둘러싼 홍 대표와 중진의원들 간의 갈등도 잠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심재철·이주영·나경원·유기준·정우택·정진석 의원 등 일부 4선 이상 중진의원들은 지난 12일 모임을 열고 “지방선거 필승을 위해 헌신적인 자세로 앞장서겠다”고 결의했다.
이어 13일에는 홍 대표와 만찬회동도 갖고 서로 한 발짝씩 물러서며 갈등을 일단 봉합했다.
한국당은 선대위 출범에 앞서 일단 ‘사회주의 개헌·정책 저지 투쟁본부’(이하 투쟁본부) 활동을 통해 여론전에 군불을 댕길 계획이다.
지역별로 장외집회 및 서명운동을 전개해 여권이 추진 중인 개헌안의 문제점을 국민에게 낱낱이 알리겠다는 취지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한국당의 이런 계획은 국민투표법 위반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활동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한국당은 현재 법률적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