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K-뷰티, 글로벌 위상과 과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상근 한국콜마 기초화장품연구소장
입력 2018-04-16 08: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한상근 한국콜마 기초화장품연구소장]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입액은 대략 10억 달러(약 1조원)로 2016년 기준 16조원인 전체 시장의 10%도 안되는 비중으로 떨어졌다. 불과 10년 전 내수 시장에서 수입화장품의 비중이 절반 이상이었던 것에 비하면 그야말로 상전벽해,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국내 화장품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2015년 29억 달러, 2016년 41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아직은 전체 화장품시장에서 큰 규모는 아닐 수 있지만 5년 평균 약 40%의 신장률로 급격히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엔터테인먼트의 역할이 있다. 엔터테인먼트가 그 촉발제 역할을 한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으나 국내 화장품 브랜드사인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의 전통적 브랜드 이외 닥터자르트, 클리오, 투쿨포스쿨 등의 새로운 브랜드들의 활약, 마스크팩 브랜드들의 출현과 시장 확대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강화에 절대적인 기여를 한 것은 틀림이 없다.

이러한 브랜드들이 까다로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B.B(비비), C.C(씨씨), 쿠션, 톤업크림 등으로 이어지는 세상에 없던 새로운 카테고리의 ONLY ONE(온리 원) 제품들을 만들어내고 시장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낸 한국의 창의성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력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창의성과 기술력은 사실 한국시장이 갖는 특수성에 기인한 바가 크다.

한국여성의 90% 이상이 민감성피부라고 생각한다는 사실은 다양한 제품군을 만드는 동력이 되었다. 또 제품 선택과 품질에 대해 그 누구보다 깐깐한 소비자의 모니터링,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유통환경 등에 단련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화장품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 될 수밖에 없지 않았나 생각한다.

직접 고객사와 시장을 접하면서 K-뷰티의 위상을 실감하는 것은 늘어나는 글로벌 고객사 미팅자리다. 연구소장이지만 SALES(세일즈, 영업)를 겸하지 않을 수 없는 ODM연구원의 특성상 고객사에 제품을 제안하는 자리는 필수적이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제품을 소개하려면 영업담당자를 통해 수십 번 이메일을 보내고, 전화와 자료 발송을 해야 겨우 한번 만날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이제는 누구나 알 만한 글로벌 고객사들이 스스로 찾아와 제품 제안을 받고 싶어하고, 정기적으로 제안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 찾아가지 않아도 찾아주는 현상 하나만으로도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의 K-뷰티의 위상이 느껴진다.

다만 아직 과제는 남아 있다. 선진국시장이라고 불리는 프랑스·미국·유럽에서의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다. 글로벌사들이 가지고 있는 관심의 한계, 중국·동남아 시장에서의 전초기지로서의 K-뷰티를 넘어서 미국·유럽무대에서 경쟁해도 이길 수 있는 경쟁력을 더 키우는 것이 K-뷰티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인종적 한계를 넘어, 고객의 니즈를 심도 깊게 읽어내고 고객에게 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살 제품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선진국과 중국의 사이에 위치하는 K-뷰티가 아닌 전세계를 누르는 글로벌 K-뷰티의 미래를 꿈꾸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