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이 발표한 '임차 가능지수 및 분포도를 활용한 가구 규모별 부담의 측정'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1인 가구의 임차 가능지수는 전국 평균 53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40, 비수도권은 74였다.
주택임차 가능지수는 0∼200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이 지수가 100이면 각 가구가 소득이나 재산 수준에 적정한 집을 빌릴 수 있다는 뜻이다. 임차 가능지수가 100 이하인 경우는 현재 과도한 주거비 지출을 하고 있거나 가구 형태에 어울리는 적정 면적보다 좁은 주거지에 머무르고 있다는 의미다.
3인 가구는 전국 평균이 133으로 1∼4인 가구 중 임차 가능지수가 가장 높았다. 수도권(115)과 비수도권(160) 모두 100을 넘어 소득이나 자산보다 여유 있는 집에서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차 가능지수를 과거부터 보면 2012년 이후 2∼4인 가구는 완만하지만 상승하는 추세였다. 낮은 금리에다 전반적으로 전·월세 가격이 안정되면서 주택 임대 비용 부담이 줄었기 때문이다.
1인 가구의 경우 2012년 50에서 2013년 64로 오른 뒤 다시 2014년 53으로 떨어졌고, 이후에도 비슷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임대 주택에 대한 수요는 많은데 소득이나 자산은 이에 미치지 못해서다.
2016년 기준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의 비중은 27.87%로 1∼4인 가구 중 가장 많았다. 이들의 자가 비율은 32.5%로 60%가 넘는 2∼4인 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1인 가구는 2∼4인 가구에 비해 자산이나 소득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병철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 가구의 경우 전체적으로 다른 가구에 비해 상당한 임차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 구조적 변화를 고려해 정책적 관심 대상이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