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은성이 트로트 가수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며, 트로트계의 신성을 예고했다.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교동 하나카드 브이홀에서는 혼성그룹 거북이 출신 트로트 가수 차은성의 신곡 ‘달도별도’ 발매 기념 쇼케이스가 진행됐다.
이날 쇼케이스는 차은성이 소속됐던 혼성그룹 거북이로 활동할 당시 큰 인기를 끌었던 ‘사계’로 포문을 열었다.
먼저 차은성은 “이 곡은 대중 분들에게 얼굴을 알렸던 곡이다. 저도 워낙 좋아하는 곡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팀으로 랩이 있고 구성이 있다 보니 부를 기회가 많이 없었다. 그러다 첫 시작을 알리는 자리에서 신인가수 왈와리 친구들이 도와주셨다”고 말했다.
트로트가수로 전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차은성은 “태교를 트로트로 하실 정도였다. 집에서 트로트를 늘 들으며 자랐다. 서른이 넘어가면 조금 더 표현하는 게 낫지 않을까 싶었다. 그렇게 서른 넘을 때 까지 기다리다가 이제 시작하게 됐다”며 “오히려 좋은 점이 많다. 어른들과 함께 이야기를 할 수 있고 효도하는 느낌으로 할 수 있어 뿌듯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무대는 이번 앨범의 타이틀곡 ‘달도별도’다. ‘달도별도’는 미디움 템포의 디스코 곡으로 전 세대가 즐길 수 있는 멜로디에 서정적인 가사가 어우러져 노래의 맛을 더했다. 국민가요인 ‘안동역에서’를 만든 김병걸, 최강산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달도별도’는 레코딩 키보드 주자인 최승찬이 편곡에 참여했다.
차은성은 ‘달도별도’에 대해 “가사가 굉장히 사랑스럽다. 처음에 가이드송을 받았을 때 그런 사랑스러운 느낌을 받아서 콘셉트를 ‘여자의 프로포즈’로 잡았다”며 “여자가 프로포즈를 할 때 프로포즈송으로 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1절, 2절 가사가 같으니 몇 번만 들으면 따라할 수 있는 국민가요가 됐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드러냈다.
그는 “2001년에 데뷔했다. 하지만 활동을 많이 하지 못했다. 그래도 음악을 쉬지는 않앗다”며 “트로트를 통해 새롭게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계속 달리겠다. 무대가 정말 그리웠다”고 말했다.
이어 “첫 시작이니만큼 저도 쉬지 않고 열심히 노래하는 가수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트로트 가수 전향을 위해 차은성은 수 차례 보컬 트레이닝을 받으며 새로운 변화를 꾀했다. 차은성은 “원래 기존에 부르던 창법에서 트로트로 변화하기에는 노력이 필요하더라. 그래서 전문적으로 가르쳐주실 수 있는 선생님과 함께 작업하면서 저 역시 새롭게 깨닫는 것도 있었다”며 “트레이닝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차은성은 자신의 롤모델에 대해 “트로트에서는 이미자 선생님을 정말 좋아한다. 제가 가장 많이 들었던 음악이기도 하고, 어머니와 할머니께서도 좋아하시는 선배님이시기도 하다”며 “목소리에서도 서글픈 느낌과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운 느낌이 있어서 선생님처럼 되고싶다는 생각을 해본다”고 말했다.
‘달도별도’는 차은성이 솔로 가수로서의 전향 성공을 위해 고르고 고른 회심의 곡으로 많은 이들의 기대를 모은다. 특히 ‘인생노래’와 ‘평강공주’는 차은성이 직접 작사에 참여했다.
차은성은 ‘인생노래’에 대해 “제가 외할머니에게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런데 몇 해 전에 돌아가셨다. 할머니께서 정말 노래를 좋아하셨는데, 거기서 영감을 받아서 짓게 됐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차은성은 “사실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이 가수로서는 당연하다. 하지만 일이 되다보면 빛이 바래지기도 한다. 저 역시 그랬다”면서 “앞으로는 초심을 잃지 말고 지금같은 마음으로 공연하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이야기 했다.
차은성의 ‘달도별도’는 16일 정오 발매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