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닫은 사람들, 가계필수지출 비중 18년만에 최고

필수지출 비중이 18년만에 최고점을 찍었다. 제자리걸음하는 소득에 꼭 필요한 품목에만 돈을 쓰고 그 외에는 최대한 돈을 아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국은행의 가계 목적별 최종소비지출(명목)을 보면 지난해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품, 임료 및 수도 광열, 가계시설 및 운영, 의료 보건 등 필수지출 품목으로 구분할 수 있는 4개 품목 지출은 317조2301억원이었다.

지난해 가계의 국내 소비지출(772조6778억원)과 견주면 필수지출 비중이 41.1%에 달한 셈이다. 필수지출 비중은 2016년(40.4%)보다 0.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1999년 41.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은 12개 항목으로 나뉘는데, 그중 필수지출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식생활 관련 지출), 임료 및 수도 광열(전·월세·수도·관리비 등), 가계시설 및 운영(가구·가전 등), 의료 보건(병원비 등) 등 보통 4개 항목이 꼽힌다.

2001~2015년에 필수지출 비중 내내 30%대 수준이었으나 2016년(40.4%) 40%대로 다시 올라서더니 지난해 또 상승했다. 이는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1.9%였으나 식료품·비주류 음료 상승률은 3.4%에 달했다.

그러나 물가 상승분을 빼고 봐도 필수지출 비중은 늘었다. 물가 상승률을 배제하기 위해 실질 기준으로 본 4개 품목의 지출은 가계의 국내 소비지출 중 39.7%를 차지했다. 이는 2001년(40.6%) 이후 최고다. 소득이 크게 늘지 않아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저임금 인상 여파 등으로 취업자들이 많이 늘어나지 못해 가계의 전반적인 소득이 늘지 못하고 있다"며 "수출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하겠지만 소비는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