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의 임기를 채운 김도진 행장의 행보 역시 조금 더 지켜야 봐야 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동반자금융의 가시적인 성공사례도 요구받고 있다.
◇ 정규직 전환 갑론을박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이번 정부의 주요 기조 중 하나다. 기업은행은 2016년 하반기부터 창구텔러 등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을 노사 간에 논의해 왔다. 하지만 실현된 건 최근이다.
기업은행 한 관계자는 "한동안 정규직 전환과 관련한 이야기만 나눴을 정도"라며 "외부에는 소음이 크지 않은 것으로 비춰졌지만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기업은행 블라인드 게시판이 뜨거웠다는 후문이다.
사실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는 문제다. 다만 지금까지는 정규직 전환시 내부 시험에 합격해야 가능했는데 이번에는 이 같은 과정이 빠지면서 불만이 커졌다. 준정규직 또한 모두가 찬성하지는 않았다. 정규직 전환으로 임금체계가 변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기업은행은 결정을 바꾸지 않았다. 여러가지 의문과 불안을 잠재우는 것은 이제 김 행장의 몫이 됐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국책은행이지만 기업은행과 마찬가지로 소매영업을 다루고 있는 산업은행은 진즉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완료한 것으로 안다"며 "기업은행도 잘 정착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동반자금융 꽃 피울까
김 행장은 올해를 동반자금융 정착의 해로 정했다. 지역본부 소속 영업장들에게 "은행과 고객 모두 공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공 사례를 창출하자"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반자금융은 성장금융과 재도약금융, 선순환금융으로 구성된다. 즉 우수한 사업 모델과 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이 보다 많이 생존할 수 있도록 돕고, 글로벌 진출 및 우수 인재 확보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본격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어 성장단계별로 시장친화적 기업 구조조정과 자금 선순환을 이뤄내는 구조다.
동반자금융을 구체화하기 위한 노력은 비단 중소기업 대출에 국한되지 않는다. 엑시트(Exit) 사모펀드 조성, 서민금융 지원 확대는 물론이고 기업 광고 또한 여기에 초점을 맞췄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기업은행의 경우 다른 은행들과 달리 각종 의혹과 논란 속에서 큰 무리 없이 항해 중이다"며 "동반자금융은 금융당국의 포용적금융과 맞닿아 있어 해당 기조가 오래 유지될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선순환을 이뤄내는 과정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와 인내심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