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은 19일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이 "오는 20일에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를 소집한다"는 결정서를 이틀 전인 지난 18일에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노동당은 북한에서 정책 지도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기관이어서 노동당 전원회의는 사실상 국가의 대내외 거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회의는 노동당 제7기 3차 전원회의로, 지난해 10월 열린 2차 전원회의 이후 6개월여 만이다.
북한은 당(黨) 규약에 연(年) 1회 이상 전원회의를 소집해 중요 문제를 결정하고, 주요 조직을 인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김정은 집권 이래 3번밖에 열리지 않았고, 이미 지난해 10월 제2차 전원회의를 열어 대규모 세대교체를 단행했다.
2016년 5월 1차 전원회의 이후 17개월 만에 회의가 열렸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조기에 개최되는 것이다.
중앙통신 또한 전원회의 소집 사실을 보도하며 "혁명발전의 중대한 역사적 시기의 요구에 맞게 새로운 단계의 정책적 문제들을 토의·결정하기 위하여"라고 전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전원회의에서 북미 관계 정상화의 필요성을 부각하는 데 주력할 거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북미 정상회담 개최도 내부적으로 공식화할 가능성이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미정상회담을 공식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여전히 비핵화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어려울 것이지만, 해석의 여지를 통해 의지를 담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지난 9일 정치국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화하면서도 미국과의 정상회담 개최 합의 사실은 밝히지 않았다. 당시 관영매체는 "조미대화 전망을 심도있게 분석했다"고만 선전했다.
이처럼 북한이 대미 관계 관련해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은 지난 70여년간 '대미 적대감'을 체제 유지의 동력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 주목되는 점은 북한이 회의 의제로 언급한 '새로운 단계의 정책적 문제'에 핵 문제와 관련한 새 정책 방향이 포함될 지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지난달 초 방북한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단에 비핵화 의지를 밝혔고, 지난 부활절 주말(3월 31일∼4월 1일) 극비리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내정자와도 비핵화 문제에 대한 사전조율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김 위원장의 직접 발언이든 공식매체를 통해서든, 북한은 최근 남북·북미정상회담 추진 국면에서 비핵화와 관련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적은 없다.
따라서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비핵화 및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 노동당 전원회의를 통해 공식화하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만일 이번 회의에서 핵 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입장을 표명한다면, 대내적 차원에서 방향 선회를 정당화할 논리 개발 작업을 마쳤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병진노선을 수정하는 새로운 노선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며 "새로운 노선에는 북한의 적극적인 비핵화 협상 의지와 대남, 대미, 대일 관계 개선 및 국제사회와의 평화공존을 지향하는 내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병진노선의 또다른 축인 경제에 집중하는 식으로 북한이 강조점을 옮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