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분단과 아픔의 상징물인 판문점에서 남과 북의 정상이 대결의 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평화의 시대의 문을 열게 될지 세계의 눈길이 몰린다.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된 판문점은 분단의 상징이다. 휴전회담은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열렸으나, 개성 일대가 공산군의 통제 아래 있었던 탓에 회담 장소로 적절치 않았다.
이에 따라 남북이 합의, 1951년 10월25일 널문리 판문점으로 회담 장소를 옮겼다.
UN군과 북한군은 1951년 10월22일 널문리 주막마을에 천막을 치고, 연락장교 접촉을 시작했다.
초기 판문점에서는 남북의 경계없이 양측 군이 공동으로 경비를 했다. 그런데 1976년 8월 18일 북측 초소를 가린 미루나무의 가지치기 작업을 감독하던 유엔군과 한국군을 북한군 수십 명이 공격하는 이른바 ‘도끼만행 사건’이 발생하면서 대치 상태로 근무한다.
이 사건으로 미군 장교 2명이 숨졌고, 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후 판문점내에도 콘크리트로 된 군사분계선(MDL)이 생겼다. 그 이후부터 지난해 11월13일 북한군 병사 오천성의 귀순과정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까지 판문점은 일촉즉발의 현장 그 자체였다.
그러나 판문점은 모순되게도 남북회담이 열리는 대화의 장이기도 하다. 통일부가 지난 17일 배포한 ‘남북회담 약사 및 판문점 현황’에 따르면 지금까지 열린 남북회담은 모두 655회고, 이 중 360회가 판문점에서 열렸다.
판문점 남북회담은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에서 156회,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94회,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87회 열렸다. 남측 자유의 집과 북측 판문각에서도 각각 11회와 12회 회담이 열렸다.
판문점내 첫 남북회담은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에서 1971년 8월20일 열린 ‘남북적십자 파견원 제1차 접촉'이었다.
2000년 첫 남북 정상회담때는 준비회담이 8회 개최됐다. 1994년에도 김일성 사망으로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못했으나, 준비를 위한 접촉이 5회 있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남북간 접촉은 개성에서 3차례 진행됐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고위급회담 1회,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 2회, 통신회담 2회 등 4회의 준비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렸다. 오는 23일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이 열릴 예정이다.
한편 ‘공동경비구역(JSA)’이라고도 불리는 판문점의 공식 명칭은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이다.
지금의 판문점은 1953년 7월 휴전협정이 맺어진 후, 새롭게 조성된 곳이다. 판문점내 건물도 모두 협정 후 새로 지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