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정이 모여 고용·노동 관련 현안을 논의하는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바뀐다.
변경된 위원회에는 노·사·정 대표 외 청년·여성·비정규직·중소기업·소상공인 대표들도 의결권을 갖고 참여한다.
노사정위원회는 23일 서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에서 3차 노사정대표자회의를 열고, 새로운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의 개편 방안에 합의했다.
또 4월 국회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법 관련 개정안을 발의하고, 5월에는 개편된 사회적 대화기구가 본격적인 역할을 한다는데 동의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신설되면 지금까지 노·사·정·공익 각 2명으로 구성됐던 회의체는 비정규직, 청년, 여성, 중견·중소기업, 소상공인 대표 등으로 참여 주체가 대폭 늘어난다.
1998년 출범한 노사정위원회가 20년만에 사회적 대화기구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이날 노사정 대표자 회의에는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 박태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상임위원(간사)이 참석했다.
노사정 대표자회의는 지난 1월31일 문재인 정부 들어 다시 열린 후 △새로운 사회적 대화기구 구성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양극화 해소 △노동 3권 보장 △4차 산업혁명과 저출산·고령화 해결 등에서 협력하고 있다.
문성현 노사정 위원장은 "노사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라며 "경제사회노동이라는 새로운 골격과 뼈대를 갖추고 나가게 된 만큼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