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혁신처 조사결과 중앙부처 여성 공무원의 77.4%는 승진에 '성차별이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이클릭아트]
매년 공무원 시험 여성 합격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중앙부처 여성 공무원의 77.4%는 승진에 '성차별이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 공무원의 64.9%는 여성임용 목표제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인사혁신처는 지난 2월 23∼27일 동안 진행한 '공직 내 여성공무원 인사관리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45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1만55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이뤄졌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응답자의 68.3%는 남성, 31.7%는 여성이었다.
조사 결과 승진에서 남성의 64.5%는 ‘성차별이 없다’고 봤지만, 여성의 77.4%는 ‘성차별이 있다’고 답했다.
여성은 주요 차별원인으로 남성중심 조직문화(29.8%), 출산·육아휴직 사용의 불이익(22.4%)을 꼽았다.
근무성적평정에서도 남성의 64.5%는 ‘성차별이 없다’고 했지만, 여성의 67.8%는 ‘성차별이 있다’고 느꼈다.
여성은 주요 차별원인으로 특정성에 대한 관대한 평가 관행(29.0%), 핵심부서 경력부족(27.1%)을 들었다.
보직배치에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지 묻는 말에 여성의 55.8%는 미치는 편이라고 답했지만 남성의 55.6%는 이를 부정했다.
여성의 주요 보직배치 장애요인으로 남·여 공무원 모두 ‘가사 및 육아 문제’를 1순위로 택했다.
2순위로는 여성이 ‘관리자의 여성기피’, 남성이 ‘책임성·적극성 부족’을 꼽아 상반된 인식을 보여줬다.
성차별적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을 묻는 모든 문항에서 남·여 모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여성임용목표제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여성의 경우 40.9%이지만 남성은 64.9%로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관리자의 성별에 대한 인식을 묻는 모든 문항에서 성별 무관이 70∼80%대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업무에 관해 결정할 때 ‘남성이 잘한다’ 14.2%, ‘여성이 잘한다’ 4.8%, ‘성별 무관’이란 응답이 81.0%였다.
공무원들이 관리자의 성병보다 개인성향, 능력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반면 남성 공무원의 64.9%는 여성임용 목표제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인사혁신처는 지난 2월 23∼27일 동안 진행한 '공직 내 여성공무원 인사관리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45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1만55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승진에서 남성의 64.5%는 ‘성차별이 없다’고 봤지만, 여성의 77.4%는 ‘성차별이 있다’고 답했다.
여성은 주요 차별원인으로 남성중심 조직문화(29.8%), 출산·육아휴직 사용의 불이익(22.4%)을 꼽았다.
근무성적평정에서도 남성의 64.5%는 ‘성차별이 없다’고 했지만, 여성의 67.8%는 ‘성차별이 있다’고 느꼈다.
여성은 주요 차별원인으로 특정성에 대한 관대한 평가 관행(29.0%), 핵심부서 경력부족(27.1%)을 들었다.
보직배치에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지 묻는 말에 여성의 55.8%는 미치는 편이라고 답했지만 남성의 55.6%는 이를 부정했다.
여성의 주요 보직배치 장애요인으로 남·여 공무원 모두 ‘가사 및 육아 문제’를 1순위로 택했다.
2순위로는 여성이 ‘관리자의 여성기피’, 남성이 ‘책임성·적극성 부족’을 꼽아 상반된 인식을 보여줬다.
성차별적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을 묻는 모든 문항에서 남·여 모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여성임용목표제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여성의 경우 40.9%이지만 남성은 64.9%로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관리자의 성별에 대한 인식을 묻는 모든 문항에서 성별 무관이 70∼80%대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업무에 관해 결정할 때 ‘남성이 잘한다’ 14.2%, ‘여성이 잘한다’ 4.8%, ‘성별 무관’이란 응답이 81.0%였다.
공무원들이 관리자의 성병보다 개인성향, 능력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