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측은 "분단 이후 70년간 대한민국의 인프라 및 주택·해외 건설 등으로 쌓은 노하우와 경험을 충분히 살려 남북한이 윈윈할 수 있는 국토종합개발에 적극 앞장설 것"이라며 "건설산업은 남북경협, 나아가 통일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크다"고 앞서 발표했다.
그러면서 협회는 건설업계, 연구기관, 공기업, 학계, 학회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통일포럼'을 꾸려 이달 8일 '킥오프 회의'를 연다고 덧붙였다. 남북한을 잇는 철도, 도로, 항만 등 교통시설 구축과 산업단지 및 경제특구 조성 같은 실질적 구상 및 실행 방안을 구체화한다는 목표다.
과거 박근혜 정부 시절 대형건설사 중심으로 꾸려졌던 '건설분야 통일위원회'와 달리 중견에 더해 중소기업까지 문호를 개방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남북 경협에 관심 있는 회원사들이 모두 참여해 각자 입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건협은 포럼이 나갈 방향에 대해 '한반도 개발 청사진 제시'란 거창한 계획안을 알린 바 있다. 남북은 6·25전쟁 이후 1953년부터 65년간 정전상태다. 남북정상 회담은 2007년 2차 이후 11년 동안 끊겼었고, 판문점 핫라인은 지금까지 총 6차례나 단절됐었다. 평화 분위기는 분명 환영할 일이지만 그렇다고 지나친 낙관론은 시기상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