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ICT 특구' 건립시 '기초과학·공동 R&D' 추진 물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희강, 정명섭 기자
입력 2018-05-04 10: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연합/로이터]


우리나라와 북한이 첨단기술산업이 집약된 이른바 정보통신기술(ICT) 특구 건립 방안을 추진할 경우 기초과학 개발·연구(R&D) 분야에서도 활발한 교류가 이어질 전망이다. 과학기술 협력 채널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처리 기술, 사물인터넷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남북 연구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4일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남북 정상회담 때 북한경제특구 중 하나인 ICT 특구 건설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ICT 특구는 2014년 7월부터 조성한 IT 첨단기술 산업단지로, 남북 공동 연구개발(R&D) 기초과학연구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파주에 조성될 것으로 점쳐지는 첨단산업단지와 별도로, 북한이 지정한 22개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가운데 평양 은정첨단기술개발구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 고위 관계자는 "예정된 북미회담 결과가 잘 풀릴 경우 대북 제재 수위가 한층 낮아지고 남북 경협도 속도를 낼 수 있다"면서 "판문점선언 이행추진위원회가 해당 안건을 검토해 이르면 내년부터 특구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실제 정부는 ICT 특구 건설을 통해 연구협력 채널이 구축될 경우 남북 과학 교류가 한층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백두산 화산 분화 연구를 비롯해 남북한 철도연결, 천연물 개발 연구, 광물자원 연구 등 남북 연구기관 협력 및 공동 연구주제 발굴이 활발히 이뤄질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수립과 관련한 남북 공동연구 방안도 모색 중이다. 한반도 신경제지도는 동해권·서해권·접경지역(DMZ) 등 3대 벨트로 묶어 개발하고 이를 북방경제와 연계해 동북아 경협허브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인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오는 2020년까지 '남북과학기술협력센터'를 건설하는 일정에 착수한 상태다.

이관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장은 "한반도 정세가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무엇보다 과학기술 분야 협력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남북간 이질감을 줄일 수 있고, 이런 교류가 북한의 경제개발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세중 외교부 기후변화환경외교국장은 "(백두산 화산 분화 문제는) 이념과 불신의 굴곡을 넘어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으로 협력 모색이 가능한 분야"라면서 "남북이 윈윈할 수 있는 협력모델로 소기의 성과를 거둘 경우 국제적인 과학기술외교 사례로서도 매우 귀중한 결과"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