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등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옌스 스톨텐베르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을 만나는 자리에서 '북한의 태도변화가 전형적인 수법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에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중국과 만났을 때 상황이 조금 바뀌었다고 생각한다”며 “그들이 시 주석과 두 번째 회담을 한 뒤로 큰 차이가 있었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가 김정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내 친구인 시 주석은 매우 훌륭한 사람이지만, 그는 중국을 대변하고 나는 미국을 대변한다”고도 말했다.
관련기사
이날 미중무역회담이 열리는 것을 감안하면 북한 비핵화 협상 문제를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중국의 전략이 반영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이 북한에 대해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영향력 축소를 목적으로 한미훈련 축소, 미군감축을 얻어내기 위해 북한의 반발을 유도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으로서는 급속한 북한의 대미 접근을 경계하려는 목적으로 수위 조절을 요구했을 수도 있다.
북한의 반발 대응이 중국을 의식한 행보일 수도 있다는 평가다.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에 있어서는 제재에 나서는 등 미국과 공동보조를 맞춰 왔지만 비핵화 방식에서는 단계적, 동시적 조치를 요구하면서 체제보장 등이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단계적 비핵화 방식과 함께 이에 상응하는 체제보장과 평화구축 방안을 요구했었다.
중국으로서도 북한 김정은 정권의 안정을 목적으로 강한 체제보장 방안을 요구했던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후 비핵화 방안으로 리비아 방식이 아닌 한국 모델을 거론하고 체제 보장을 강하게 거론한 것이 이에 대한 화답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비핵화와 체제 보장 방안 등을 놓고 북미정상회담이 예정된 내달 12일까지 이 같은 신경전은 지속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