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이라는 개념 자체가 모호해 전공이 도대체 무엇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융합 관련 교육과정에서도 여러 과목을 얇고 넓게 가르치는 식으로 변질되는 경우가 있다” (강단비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선임연구원)
“학생 신분으로 기업을 접촉하기 어려워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하기 어렵다” (김기현 포항공대 연구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4일 경기 수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개최한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안(이하 융합연구개발 계획안) 공청회에서 청년 연구자들이 융합연구 과정에서 겪은 여러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각 분야의 젊은 연구자들이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과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토크콘서트 방식으로 진행됐다. 먼저 연구자들은 융합의 개념이 넓어지고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융합은 2개 혹은 3개 이상의 학문이 모여서 또 하나의 새로운 학문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그러나 현재 교육 제도 하에서는 융합을 표현할 단어나 수단이 부족하다. 이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학문을 겉핥는 데 그치는 문제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강단비 선임연구원은 “융합의 개념이 모호해 전공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받으면 설명이 안 되는 에러가 발생한다”라며 “대학 교육과정에서 융합은 교양과목 식으로 개별 과목들을 얇고 넓게 아는 식으로 변질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융합지원사업이 유행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특히 하드웨어 개발 스타트업은 성과를 내기까지 오래 걸린다. 이 같은 특성을 감안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연구자간 정보를 교류하고 연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협업의 장을 마련해달라는 주문도 나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연구자 38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자의 76.1%(2949명)가 융합 연구를 위한 정보공유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외에도 융합연구 성과를 연구자들이 합리적으로 배분하고 공유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 정부 “과학적 난제, 융합연구로 해결...연구자 교류의 장 마련”
과기정통부는 이날 공청회에 앞서 융합연구개발 계획안의 핵심 내용을 설명했다. 이번 계획안은 융합이 연구개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2027년까지 10년간 장기 비전을 제시하는 계획이다.
융합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사회에 발생할 국민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주요국도 융합연구가 향후 국가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 관련 지원 정책을 수립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은 지난해부터 △데이터 혁명 △신북극탐사 △양자혁명 △인간-기술간 협력적 업무 환경 등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모험적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23개 과제에 투입한 예산은 1126만 달러(약 121억원)다. 유럽연합(EU)은 기후변화와 순환경제, 산업의 디지털화 등의 이슈를 융합연구로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0년까지 70억 유로(약 8조8288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과기정통부 또한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7대 중점과제를 선정했다. 먼저 다부처 특별위원회를 개편해 부처 간 융합연구 추진방향을 총괄 조정하는 역할을 부여한다. 특위는 분야 간 장벽을 낮춘 융합 기획에 나선다.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도 구축한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와 연계해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토록 하고 연구자 간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융합협력센터를 운영해, 대학과 기업 등과의 협력으로 도전적 연구 수행을 지원하고 대학 내 전공 간 경계를 허물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과학적 난제 해결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도전과제를 발굴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R&D를 과제화한다. 산업수요를 상시로 모니터링해 인큐베이팅을 지원하고, 국민 생활에 밀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자 간 협업 프로세스를 강화한다.
기후조절, 노화대응 등 인류의 공동문제를 발굴해 신산업으로 육성하고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진규 차관은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융합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혁신성장을 이끌고 국민생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기본계획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