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합성으로 세포 내 국부적으로 골격단백질을 합성하는 인공세포 [이미지=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관우 교수(서강대학교)와 케빈 파커 교수(하버드대학교), 안태규 교수(성균관대학교) 및 정광환 교수(서강대학교)가 공동연구를 통해 살아있는 세포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며, 빛을 사용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게재됐으며, 네이처의 하이라이트로 소개됐다. 연구팀은 식물에 있는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에서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한 후 세포와 유사한 형태로 재조합해 인공세포를 제작했다.
개발된 세포는 빛을 사용해 스스로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하며, 세포의 움직임과 형태를 구성하는 세포골격을 합성하고 또한 빛에 반응해 스스로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마치 원시적 형태의 살아있는 세포와 유사하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신관우 교수는 "살아있는 생명체에 가장 근접한 혁신적인 연구성과이며, 스스로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성장하는 생명체를 인간이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