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선거만 다가오면 이해관계자들 간 충돌도 빈번하다. 특히 지역의 편의시설이나 부동산 시세에 영향을 끼치는 이슈는 가히 '전쟁'을 방불케 한다. 최근에는 유통업계에서 야심차게 추진하는 복합쇼핑몰이 논란의 대상이다.
대형 복합쇼핑몰은 지역의 부동산 시세와 소상공인의 상권에도 영향을 미쳐 이해관계 대립이 첨예한 영역이다. 복합쇼핑몰의 입점으로 벌어지는 갈등 구도는 기본적으로 주민은 찬성, 소상공인은 반대를 하는 모양새다. 부동산 시세 상승으로 이익을 기대하는 주민은 찬성이 많은 반면, 상권의 이익을 복합몰과 나눠 가져야 하는 상인연합회는 반대가 주를 이룬다.
이들이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이익을 추구하는 입장은 십분 이해가 간다. 문제는 집단 간 정치적 충돌 때문에 실제 피해는 기업이 입게 된다는 점이다. 새우싸움에 고래등이 터지는 격이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5년을 끌어온 롯데 복합몰의 착공은 아직도 줄다리기 중이다. 시장상인과 지역주민의 표심 규모가 크기 때문에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지자체나 정치권은 어떠한 의견도 내놓지 않는다.
경남 창원의 스타필드 입점에 관해서는 기업 관계자의 별다른 홍보 없이도 벌써 상인과 주민이 나눠져 찬반 격론을 벌이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출점을 지지하는 주민들의 의견이 반갑지만 사회적 분위기를 살펴 목소리를 내기도 힘든 입장이다.
이 같은 사례들을 종합해 보면 이 문제는 기업 스스로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이 나온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치권은 해당 이슈를 표심잡기의 도구로 이용할 뿐이다. 지자체에서도 적극적이고 진정성 있는 해결 의지는 보여준 적이 없다.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명분잡기에 수월한 소상공인도 기업의 무리한 상생출연금 요구만 이어가고 있다. 과거에는 무조건 상인회 편을 들던 여론도 분위기가 다소 바뀌었다.
지자체나 정치권은 사회적 갈등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지역상인과 기업 간 중재에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지역민들의 투명한 의견수렴을 통한 공론의 장도 마련해야 한다. 경제가 발전한 만큼 사회의 성숙도 뒤따라야 할 시기다.
롯데는 최근 유통사업에서 온라인으로의 방향 전환을 표명했다. 회사 차원에서는 해당 사업에 5년 동안 3조원을 쓰겠다고 대대적으로 선언했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전환은 유통업계의 큰 흐름이기도 하지만 롯데의 '소심한 항변'으로도 비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